안녕하세요. 이번에 LG전자 BS본부 - R&D 연구기획 직무에 지원하려고 합니다.
JD와 우대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JD : [EV충전기 제품 개발 기획]
- 상품기획팀 / 영업팀과 PRM 협의
- 매해 출시되는 모델의 컨셉, spec, 출시 일정 협의
- 개발 모델의 QCD관리
Q : 개발모델의 품질 수준 관리 (품질 프로세스 진단 대응, Q 프로세스 셋업 등)
C : 개발모델의 재료비, 수익성 관리
D : 목표 개발일정내 개발완료 되도록 관리 - ESS, MVDC, LVDC, SST, 계통연계, 전력망 기술 등 EV충전기 관련 신기술 탐색
우대 사항 :
- 전기전자, 기계 또는 관련 학과 전공의 학사 이상 학위를 소지하신 분
- 전력전자 또는 회로이론, 전자회로, 열역학, 기계설계 관련 수업을 이수하신 분
- 산업공학 관련 학과 전공의 학사 이상 학위를 소지하신 분
- 성장하는 기술 분야에서 열의를 가지고 자신의 커리어를 만들어가고 싶으신 분
- 유관 전공의 학사 소지자
- 전력전자 부품, 모듈, 보드 개발 경험
- 전기기사 및 산업기사 자격증 소지자
- 영어 중급 이상(Toeic Speaking Lv.5/IM이상)
제가 이해한 직무는, 유관 부서와 협업과 소통을 통해 제품 컨셉과 스펙을 기획하고, 더 좋은 제품 개발에 기여하는 직무라고 이해했습니다. 그리고 커뮤니케이션 능력, 프로젝트 관리 능력이 중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간단하게 제 소개를 드릴까 합니다. 저는 27살 남자입니다. 보잘 것 없는 제 스펙을 적어봅니다.
단국대 전자전기공학부 전공
3.72/4.5
전기기사, 컴활1급, 한국사1급
오픽 IH
교육사항 : 아나운서 준비 2년(아나운서 아카데미 교육 2년 총 225시간 수료), H모빌리티클래스 전동화(EV충전원리, 배터리, 모터, 전력변환, OBC, LDC, PFC컨버터 학습), 2차전지 기초 교육, 기술영업 교육
동아리 회장 6개월(가장 중요한 활동으로 정기 사진전을 7일 간 진행, 모든 과정 총괄(장소 대여, 비용 배부, 발품팔기))
아나운서 준비시절, 스터디를 꾸렸고 스터디 방식이 효율적이지 않아 스터디원들과 회의를 통해 방법을 바꿨고, 그 결과 방송국 합격자 탄생
화장품 영업 아르바이트 10개월
교내 설계 프로젝트
- PSIM을 이용해 다이오드 정류기 + 벅컨버터 설계하여 리플이 5% 미만이 되게
- PSIM을 이용해 H브릿지컨버터와 DC모터를 설계했고 PWM 제어를 통해 모터 제어, PSIM과 비주얼스튜디오를 연동했으며, 코딩을 통해 PI제어기를 만들어 DC모터가 속도 지령을 따라가게 설계, 하지만 특정 구간에서 문제가 생겨 속도를 제어하는 코드를 추가해 제어함
- 전력계통설계 경험(발전기, 변압기, 송전선 등을 고려함)으로 경제적 비용으로 설계를 하게 했다
- 데이터 시트들을 찾아가며, 특정 효율 이상인 변압기를 만들기 위해 어떤 재료(코어, 와인딩, 턴수)를 사용해야 하는지 보고서에 적음
- 졸업 프로젝트때 PSIM으로 회로 설계 -> PCB Layout으로 PCB배선 설계를 했으며, 완성된 회로 기판위에 소자를 납땜하고 동작하는지 확인(이 때 제대로 참여를 하지 못해 잘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아나운서 준비 시작전에 이러한 활동들을 미리 다 해놨었습니다.
전력전자 관련해서 우대하는 직무인거같은데, 동아리 회장하면서 전시회 이끌었던 것과 아나운서 스터디 방식 바꾼것이 어필할 만한 사항이 될까요? 그리고 컨버터 경험은 당연히 쓸거고, 충전된 배터리가 모터를 구동시키는건데 EV충전기 사업과 관련된 직무에 모터 설계를 어필해도 될 지 고민입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작성자 wjswjsshdP
신고글 LG전자 BS사업부 연구기획 직무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