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이과 고민
모든 기업
머신러닝 엔지니어 외 2
데이터 분석가/데이터 사이언티스트/ML Engineer 진로 및 스펙 고민

박박바라라
추천 0
스크랩 2
안녕하세요.
저는 24년 2월에 졸업하고 AI 부트캠프 수료 후 아무것도 안하고 있는 백수...입니다...
진로고민이 있는데 어디 털어놓지도 못하고 그래서 여기에 글 올려봐요...
저는 19년도에 입학을 했고, 저희 학교는 1학년때는 전공이 없기에 그나마 관심 있던 생명과학과로 진학을 결심했는데요. 실험만으로는 먹고 살기 어려울 것 같다고 느껴서 코로나 터진 후 무기력증 때문에 학점도 말아먹고, 진로에 대한 고민도 너무 심해서 한 학기 휴학을 했습니다.
그 기간동안 약대 준비할까하다가 학점도 낮고, 수능 때 했던 경쟁이 너무 부담스러웠던 기억 때문에 안 했고, 한 학기의 휴학기간 동안은 쉬면서 파이썬을 독학했습니다.
그 후로는 학교에 연구실에도 들어가서 학부생연구원으로 실험도 하고 그러다가, chatGPT 때문에 한창 난리일 때 AI쪽에 관심이 생겨서 파이썬도 알고 있겠다 AI전공으로 복수전공 변경하고(관련 수업은 졸업 1년 전부터 들어놓고, 복전신청은 막학기 때 해서 사실상 학교에서 배운 건 1년밖에 되지 않습니다.) 연구실에서 팀도 바꿔서 AI와 생명과학을 융합한 연구를 했습니다.
문제는 제가 배우면서 연구를 진행하다보니까 초반에는 거의 제대로 진행되는 게 없었고, 졸업때까지도 제대로된 결과물이 안 나와서 졸업논문을 연구논문으로 못 쓰고 프로포절로 바꿔 논문도 급하게 쓰고 졸업했습니다.
그 뒤에는 데이터 관련해서 자격증도 따고, AI 개발자 부트캠프도 하고 그랬는데 부캠 듣고 나니 방향성을 못 정하겠더라고요. 일단 제가 해왔던 것을 기반으로 빠르게 취직할 수 있는 일자리를 찾으려고 하는데,
AI나 데이터사이언스를 하려니 대학원을 가야되는데 학점도 애매하고, 연구 역량도 제가 포스터논문만 써서 부족하고...
데이터 분석가를 하자니 회사 공고에서 요구하는 역량 (SQL, AB 테스트, 코호트 분석, Hadoop, spark 등...)이 모자라고...
스펙을 더 쌓아야 하나 싶은데 진로를 못 정하니까 어떤 스펙을 쌓고 뭘 공부해야 빨리 취업할 수 있을지 모르겠습니다...ㅜ
대학원도 생각이 있는데, 대학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는 곳(설카포)에 지원하기엔 학점이랑 제가 학부생연구원으로 연구한 내용은 있지만, 너무 허접하고 끝을 못 봐서 제대로 된 논문이 있는 게 아니라서 걸리네요...
저와 비슷하게 생명과학이랑 AI 복수전공한 친구들은 대학병원 연구실에 취업해서 병원에서 나오는 데이터를 가지고 연구를 하거나, 아예 의과학대학원으로 진학하더라고요.
저도 이쪽으로 찾아봤지만, 연구실이라 그런지 데이터 분석쪽은 공고가 잘 나지 않고, AI쪽(영상 진단, LLM)은 제가 AI는 부캠하면서 얕고 넓게 두루두루 해봤지만 CV, NLP 등 한 분야를 깊게 파본 게 아니라 프로젝트도 없고 핏이 안 맞구요... 그래서 고민이 너무 많습니다. 제가 막연히 고민하고 있는 루트들은 다음과 같아요.
1) SQL, Hadoop, spark 같은 대용량 데이터 처리를 배우고 데이터 분석가 취업을 노려본다. (근데 어떤 식으로 공부해야할지 막연함)
2) Kaggle 같은 곳에서 의료AI 프로젝트 경험을 쌓아서 대학병원이나 AI를 이용한 연구를 하는 의과 대학원 연구실을 알아본다.
3) 부캠에서 했던 프로젝트들 정리 (데이터분석, 머신러닝, 딥러닝(CNN, RNN), LLM 등 작은 프로젝트 7개, 큰 프로젝트 1개 있습니다.)해서 AI 대학원 25년 후기를 노려본다. (학벌, 학점 때문에 제일 가능성 낮아보임...)
어느쪽으로도 안 될 것 같다는 생각에 착잡하네요... 뭘 어떻게 더 공부해야할지도 몰라서 딥러닝 기초했던 거 다시 정리하고, 핸즈온 머신러닝도 사보고, 알고리즘 스터디도 해보고... 방향이 안 잡히는데 어떤 스펙을 더 쌓으면 어떤 직군으로 빨리 취업이 가능한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제 스펙은 아래와 같습니다...
1) 학벌: 지방사립대 생명과학 + AI 복수전공
2) 학점: 전체 3.73/4.5
3) 자격증: AdSP, SQLD(자격증은 있는데 쓸 줄 몰라요... 배울 예정), AICE Associate, TensorFlow Developer Certificate, 빅분기 (필기 합격, 실기 준비중)
4) 프로젝트:
(1) 학교 수업 프로젝트 2개 정도 (하나는 생명과학 관련, 하나는 모빌리티 관련)
(2) 학부생 연구원 2년 중 했던 AI 관련 프로젝트 1개 (1년은 생명과학(유산균) 연구, 1년은 생명과학(유전자) + AI 연구)
(3) 부트캠프에서 한 작은 프로젝트 7개 (데이터 분석, 머신러닝, 딥러닝, 시계열, CNN& 전이학습, LLM 활용 QA 챗봇 만들기, Django로 웹사이트 만들기 등) 과
큰 프로젝트 1개 (AI기능 탑재한 웹서비스 만들기)가 있는데,
작은 프로젝트들은 이론을 배우고 나서 얕게 실습하는 느낌이라, 이걸 .ipynb 파일로 낸다고 하면 그냥 학습지 답칸 채운 걸 낸다고 할까요...ㅜ 이 프로젝트들을 포트폴리오로 써도 될지 모르겠습니다....
5) 수상:
(1) 부캠에서 한 큰 프로젝트로 최우수상
(2) 부캠에서 한 코딩테스트 대회에서 두번째 큰 상(?) (이건 수상이라고 쳐야할지 모르겠네요... 문제만 많이 풀면 주는 상이라)
(2) 공공데이터 활용 경진대회 - 아이디어 기획부문으로 장려상 2개 (두 번 다 조장을 맡았는데, 이게 아이디어만 내면 되는 거라 간단한 데이터분석만 했었습니다..)
6) 영어: 토익 955/ 텝스 451
이렇게 나열해놓고 보니까 한 건 있는데 성과가 별로 없어서 취준할 엄두도 안 나네요.
이제는 소속도 없는데 프로젝트 경험을 어떻게 쌓아야 할지도 모르겠고...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작성자 박박바라라
신고글 데이터 분석가/데이터 사이언티스트/ML Engineer 진로 및 스펙 고민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