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sion model 혹은 Vision에 필요한 데이터셋 구축과 관련하여,
Vision model, AI Agent, DX 분야를 희망하는 졸업예정자이자 취준생입니다.
26년 2월 석사 졸업 예정입니다. 연구원을 희망했으나 업황이 너무 좋지 못하고, 단기 회복이 어려울 것 같아 되는대로 건축시공 직무에도 지원중에 있습니다.
아래 스펙사항에 기재된 LMM과 관련된 내용은 비전 데이터셋 구축 자동화 파이프라인입니다.
저의 도메인은 건축이지만 해당 프로젝트는 도메인 무관하게 적용되는 기술이였기에,
비전, 멀티모달 관련한 공채는 인턴 계약 안가리고 다 지원했습니다.
AI Agent 관련해서는 현재 프로그래밍에 AI Assist를 적극 사용하고, 이를 통해 AI Agent 프로젝트를 진행중에 있습니다. 실제로 지인의 현업 업무 자동화를 위해 프로그램 작성을 지도, 배포한 경험이 있습니다. (비계약, 개인 사용 정도의 수준)
대기업부터 중견까지는 지원한 상태이고 현재 11개중 6개 서류불합인 상황입니다. 다른 기업도 비슷할 것으로 보입니다.
추가로 7개정도 더 작성중입니다.
[스펙]
✅학력 : 국립 건축공학 학사 + 석사
✅학점 : (학사) 전체 3.43, 전공 3.46 / 4.50
(석사) 4.50/4.50
✅자격증 : 건축기사 취득
- 건설안전기사(실기 진행중), SQLD(진행)
✅수상 : 최우수 포함 3회, 장학 1회
✅어학 : 토스 IH
✅인턴 : 학부연구생 2년
✅프로젝트 :
연구과제1. LMM + 비전 데이터셋 구축 자동화 (VLM, classification)
(상용화 수준 미달이지만 실사용 가능. 프로그램화 진행중)
연구과제2. 플랜트, DX, BIM 중심 개발진행
사용 스택 - Python, C#, fastAPI, SQL | 진행중 AI Agent, RAG, Prompt Engineering
✅논문 실적:
sci q1 - 총 2건(1저자) | 1건 완료, 1건 in progress
국내 학술 3건 (kci 없음)
현재 상태에서 무엇을 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 LMM 프로젝트를 상용수준으로 깃헙 기록하려면 리팩토링을 진행해야해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보입니다.
- AI Agent도 기획 및 개발 진행중인 것이 있는데 이것도 깃허브에 기록을 해서 포폴로 써야할까요?
- SQLD 시작 이유는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에서 SQL 기반의 데이터 관리를 진행할 것으로 보여 시작했습니다.
- 부트캠프나 AI, Vision 관련 프로젝트를 참여해보는게 좋을까요?
- 자소서의 문제라면 멘토링은 어떻게 해야하는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작성자 AGI2030
신고글 석졸예 현재까지 올서탈..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