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입검사(IQC)
자재 입고 검사
기준서에 따른 판정 및 부적합 관리
협력업체 품질 개선 요청 및 대응
2. 공정검사(PQC)
생산 중간 품질 점검
공정 불량 원인 분석 및 개선 조치
3. 출하검사(OQC)
최종 제품 검사 및 성적서 발행
고객 요구사항 반영 여부 확인 및 출하 승인
4. 표준 문서 및 절차서 관리
품질 매뉴얼/작업표준서/검사기준서 관리
ISO9001 운영 지원
5. 품질 데이터 관리 및 보고
불량률/검사 지표 관리
주간·월간 품질 리포트 작성
6. 내·외부 품질 Audit 대응
고객사 및 인증기관 감사 대응
지적사항 개선 및 후속 조치 관리
제가 공백기가 거의 4년이 되어가서 채용 공고를 볼 때 전문대졸 이상 공고도 보고 있는데 궁금한게 있어 품질관리 직무 선배님들에게 질문드립니다.(저는 대졸 신소재공학과 학사 졸업입니다)
1) 이 업무가 대졸 품질관리 직무에서도 일반적으로 수행하는 업무인지
(아니면 전문대졸/고졸 검사원 위주의 실무인지 알고 싶습니다.)
2) 향후 이직 시 ‘대졸 경력’으로 인정되는 업무인지
품질 쪽 신입 대졸 공고가 적어서, 경력 인정을 확실히 받을 수 있는 곳인지가 중요합니다.
3) 이 정도 업무 범위라면 사무 기반의 QC/QA 쪽으로 확장 가능한지,
아니면 ‘검사 위주 업무’로만 제한되는 경력으로 볼 위험이 있는지도 의견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작성자 Sqal
신고글 품질관리 직무 전문대졸 대졸 차이점 궁금합니다.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