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ommunity.linkareer.com/jayuu/4657988
안녕 여름방학 잘 보내고 있니...? 나는 이제 4학년인데, 2학년때부터 공모전 나가고 수상도 몇 번 해봐서.. 졸업하기 전에 꿀팁을 풀어볼까 해서 글 한 번 써봐 ㅎㅎ
나는 2학년 여름방학 때 뭐 할지 고민하다가, 공모전 준비해보자! 싶어서 도전해봤고, 대차게 털렸어 (ㅋㅋ ㅠㅠ)
생각보다 진짜 준비할 게 많더라고...😇
처음엔 무작정 도전했다가 망하고, 2학년때부터 거의 1년 반동안 팀원들이랑 방향성 정하고 서로 피드백해서 운 좋게 작년 + 올해 수상 두 번 했어!
혹시 나처럼 막막한 사람들 있을까봐 공유해봐ㅎㅎ
1. 주최사 성격 먼저 파악하기
- 그냥 기업명만 보고 도전할게 아니라 브랜드/사업 방향까지 같이 알아보기
- 예: 환경 공모전이라면, 해당 기업이 추구하는 ESG는 무엇인지 확인하기
- 동아리 선배(실무자) 말로는 “우리 회사가 진짜 원하는 걸 쓴 제안서는 보자마자 알 수 있다” 했어
2. 역대 수상작 분석은 필수
- 키워드는 ‘최신 트렌드’ + ‘기획력’ + '실행가능성'
- 공모전 처음 준비할 때 가장 많이 놓치는게 '논리' 랑 '실행가능성' 인데 (왜냐면 여지껏 그냥 창의력-아이디어 도출만 중요하다고 생각해서)
- 논리 - 이게 진짜 문제가 맞는가? 계속 던져서 질문하기
- 실행가능성 - 당장 한다면 언제부터 할 수 있는가? 계속 던져서 질문하기가 중요한거같아!
- 요즘은 AI 활용한 아이디어도 많이 나와서 그 수많은 데이터중에서 현명하게 잘 고르는게 중요한듯
- 그냥 예쁜 PPT보다 메시지, 문제 해결 방식이 중요 (근데 ppt도 중요하긴함)
- 링커리어에서 후기 참고 많이 함 다른 공모전이라도 참고할만한게 많음 https://community.linkareer.com/strategy
3. 나만의 강점 하나는 정리해놓기
- 나는 디자인, 팀원은 분석력, 누구는 리서치능력(자료조사) 이런 식으로 역할 분담을 잘 하는게 좋은 것 같아. 분명 개인의 강점이 있거든? 그걸 최대한 살리는게 공모전 수상 목적으로 좋음
- 본인이 하고싶은걸 하는게 아니라 잘 하는걸 해야해
- 혼자 준비해도 “내가 이거 하나는 자신있다” 싶은 거 하나 정해두기+역량쌓기
4. 제출 전에 실무자나 멘토한테 한번 피드백 받기
- 나는 동아리하면서 만난 선배(대기업 대행사 현직자)한테 피드백을 맡겼어! (인맥.. 중요해 ㅎㅎ👼)
- 전체적으로 아이디어를 내거나 정답을 이끌어주지는 않아. (당연함)
- 우리한테 계속 질문을 해주심! 그게 진짜 문제가 맞아? 요즘 애들은 어떻게 생각해? 아니면 논리가 약간 빈약하다는 정도의 피드백만 해줌
- 외부 시선이 진짜 중요…ㅎㅎ 생각보다 쌓아온 논리 와장창 될 때가 많더라
5. 방학 시즌엔 팀 꾸리기 더 수월함
- 다들 시간 여유 있어서 방학 시즌은 진짜 팀 빌딩하기 찬스..
- 개인적으로 한 번 모인 팀으로 계속하는게 중요하다고 생각해 (물론 빌런은 쳐내야)
- 특히 7~8월은 공모전 시즌이기도 하고, 여름방학부터 준비해야 내년 3~4월 제아페 준비할 수 있음
+ 여름방학에 시작하면 좋은 이유
- 개인적으로 겨울방학 공모전이 많은지 잘 모르겠음 (광고쪽이라서)
- 당연히 학기보다는 준비하기 쉬움
- 겨울방학에는 설연휴가 있어서 생각보다 오프라인 모임 못 할 때가 많았음
- 시즌 지나면 다들 취업/학기 준비로 바빠져서 진입장벽 생김😢
- 7~8월이 공모전 성수기라면, 1년 전부터 준비해서 내년 7~8월에는 수상목표 잡는게 좋음!
이 정도로 정리해봤는데 좀 도움이 되려나...??
취준하다가 공모전 꿀팁 쓰니까 진짜 숨통트이고 공모전 준비하던 때가 훨~~~~씬 좋다는걸 깨닫네...
다들 파이팅하고 좋은 결과 얻길 바람! 💗
신고하기
작성자 익명
신고글 2025 최신 공모전 준비 꿀팁&여름방학에 시작하면 좋은 이유
사유선택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