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부터 많은 이공계생이 한번 쯤 생각했던 산업안전기사 취득에 관한 팁을 드리려고 합니다.
산업안전산업기사, 산업안전기사 모두 3개의 시험을 칩니다. 필기, 실기 필답형, 실기 작업형 총3번의 시험이죠. 시험이 많다고 주눅들 필요는 없어요. 아래의 팁을 생각하면 좀 더 시험 응시에 부담감이 줄어들 것이에요.
1. 3번의 시험 모두 기출문제만 풀어도 합격이다.
산업인력공단에서 주관하는 산업기사 기사 자격증은 대부분 문제은행 식으로 출제가 됩니다. 제 개인적인 생각과 주변의 썰 들을 들어본다면 매년 공단에서 문제를 만든다곤 하지만, 새로운 유형의 문제를 제출하는 건 쉽지 않을뿐더러 문제를 만들기 위해서 박사, 기술사 등 외부 인력, 시간 및 예산이 필요할텐데 수 많은 산업기사, 기사 문제를 새로 만들 수는 없겠죠. 물론 몇 년 전 화공기사와 전기기사 문제가 많이 바뀐 경우가 있었습니다. 합격률은 3%대로 최악이었죠. 하지만, 그러한 특수한 경우가 연달아 나온다는 경우를 배제한다면 기출문제만 풀어도 합격이에요
2. 우리는 자격증 취득이 목표이지 공부하려는 것이 아니다.
산업기사, 기사자격증이 있다고 주변에서 ”와 전문가네“ 라고 보나요..? 물론 학생들이 그렇게 볼 수 있지만 현업에 있는 사람으로서 시간 좀 투자했네 정도로 봐요. 물론 기술사는 전혀 다르죠. 기사자격증 문제를 풀면서 이해가 안된다고 하염없이 늘어지면 안돼요. 기사자격증을 100점으로 취득하는 친구들은 잘 했다고 자랑할 수 있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시간낭비에요. 물론 처음 기간을 1~2주 타이트하게 잡고 공부를 했을 때 100점이 나왔다면 그 사람은 천재이지만.. 100점을 맞기 위해 공부하는 시간을 늘리고 모르는 문제를 끝까지 풀고한다면 비효율 적이에요. 다시 한번 우리는 공부를 하는게 아니라, 자격증 취득이 목표란 것을 알고 적당히 70점 수준만 맞을 정도로 준비해요.
3. 필기는 법규, 실기는 필답만 잘보면 합격
산업안전산업기사, 산업안전기사 모두 과락이 있어요. 5~6과목 90점씩 맞고 한과목 35점 맞아서 평균은 80점에 육박하더라도 과락으로 탈락이에요. 어느 한 과목 어렵다고 피하지 말고 안되면 외우기라도 해서 준비해놓으세요. 그리고 실기에서 필답형 점수가 55점 중 30점만 나와도 실기는 45점 중 30점 이상은 보통 맞더라구요. 필답형에서 점수가 갈리니, 필답형을 빡세게 준비하시고 실기는 다소 편하게 보셔도 되요. 그리고 작업형은 컴퓨터에 어떤 상황이 동영상으로 소개되는데, 어떤 안전수칙을 안 지켰는지 정 모르겠으면 두루뭉술하게라도 쓰세요. 예를들어 보호구 착용 미흡, 주변 상황 미확인, 감독자 부재 등등으로요. 최소한의 부분점수도 결국 도움이 될 때가 있어요.
그럼 위 3가지 팁을 가지고 모두 시험 응시를 잘하시기 바랍니다.
작성자 자격증멘토
신고글 산업안전기사 취득 팁(현실적인 팁 위주)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