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PT가 똑똑하다고 다 맞는 건 아닙니다. 우리가 무심코 믿는 그 말, 사실은 ‘그럴듯한 거짓말’일 수 있습니다. GPT가 왜 거짓 정보를 생성하는지, 어떻게 구별하고 바로잡을 수 있는지를 알려드릴게요.
GPT는 데이터를 기반으로 다음에 올 말을 ‘예측’하는 언어 모델이에요.
정답을 아는 게 아니라, 그럴듯한 문장을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가짜 정보도 쉽게 만들어낼 수 있죠.
예를 들어, “코카콜라에는 코카인이 들어간다”. “NASA가 100억 원짜리 우주펜을 개발했다” 같은 말들은 실제로는 사실이 아니지만, GPT는 이런 문장도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어요. 이게 바로 그럴듯한 거짓말의 위험입니다.
GPT는 정보를 ‘검색’해서 가져오는 게 아니라, 새롭게 ‘생성’하는 모델입니다.
그래서 어떤 말이 어디에서 나온 건지, 출처를 명확히 밝히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요.
예를 들어 “2028년 대한민국에서는 서울에서 올림픽이 열린다” 같은 말도 실제로 계획된 바 없지만, 그럴싸한 문장으로 만들어낼 수 있습니다.
👉 사실이 아닌 내용을 진짜처럼 말하는 이유는, 출처를 검증하지 못하기 때문이에요.
이제 중요한 건 ‘어떻게 거짓말을 잡아내느냐’입니다.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가 직접 정리한, GPT에게 진실을 말하게 만드는 프롬프트 5가지를 소개합니다!
1️⃣ 출처 기반 정보 요청 프롬프트
“공식 통계나 자료가 있다면 함께 제시해 주세요. 없다면 ‘출처 없음’이라고 명시해 주세요.”
출처 유무만으로도 정보의 신뢰도를 판단할 수 있어요.
2️⃣ 불확실성 명시 요청 프롬프트
“확실하지 않거나 의견이 갈릴 수 있는 내용이라면, ‘불확실’ 혹은 ‘논쟁 중’이라는 표현을 명시해 주세요.”
GPT는 확신을 가지고 틀린 말을 할 수 있어서, 이런 장치는 필수입니다.
3️⃣ 단계별 근거 생성 유도 프롬프트
“이 주장을 하기 위한 사실/통계/논리 근거를 단계별로 설명해 주세요.”
주장의 흐름을 따라가며 오류를 발견하기 쉬워집니다.
4️⃣ 반례 포함 요청 프롬프트
“이 주장에 반대되는 의견이나 반례가 있다면 함께 설명해 주세요.”
양측 시각을 모두 살펴볼 수 있어 편향을 줄입니다.
5️⃣ 최신성 강조 프롬프트
“최신 정보를 기준으로 설명해 주세요. GPT가 반영하지 못할 수도 있는 경우, 그 한계도 함께 알려 주세요.”
GPT는 실시간 정보 반영에 한계가 있으니, 명확히 요청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GPT는 매우 유용한 도구이지만, ‘모두 믿을 수 있는 진실의 자동 판매기’는 아닙니다.
우리가 조금 더 똑똑하게 질문하고 요청하면, 훨씬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얻을 수 있어요.
작성자 제발졸업시켜줘
신고글 AI 시대, Chat GPT 1000% 활용하는 방법 - ③ GPT 거짓말 회피하는 방법!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