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저임금 1만원의 시대가 막을 열었습니다. 그렇다면 최저임금의 변화로 대학생과 취업 준비생들은 어떤 변화를 맞이하게 될까요?
|
이번 글에서는 2025년 최저임금 1만 30원 인상으로 대학생과 취준생의 연봉 실수령액 어떻게 변화하는지 확인해 봅니다.
생활비와 학비 부담 완화, 인턴 월급 상승 등 다양한 혜택을 확인하고, 세전/세후 월급 계산법도 알아보세요.
1. 최저임금, 지금까지 얼마나 올랐을까?
2025년 최저임금은 올해 2024년 대비 1.7% 오른 1만 30원(10,030원)으로 결정되었습니다.
최저임금은 꾸준히 증가해 왔지만 그 증가폭은 점차 줄어드는 추세였습니다.
9천원 대의 벽을 몇 년째 넘지 못하다가 2025년 1만원의 시대를 맞이했습니다.
|
|||||||||||||||||
출처 : 최저임금위원회 홈페이지 |
🔵 2024, 2025 최저임금
연도 |
최저임금 (원) |
증가율 (%) |
2023 |
9,620 |
- |
2024 |
9,860 |
2.5 |
2025 |
10,030 |
1.7 |
2. 최저임금 인상으로 달라질 내 월급은?
최저임금 인상은 월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2024년 최저임금은 시급 9,860원이었으며, 이를 기준으로 월급은 약 206만원 740원(월 209시간 기준)이었습니다. 연봉으로 환산하면 약 2,472만원 (세후 2,241만원)입니다.
2025년 최저임금 인상 후, 월급은 약 1.7% 증가하여 약 209만 6,270원이 됩니다.
연봉으로 보면, 세전 약 2,515만원이 되며, 세후 연봉은 공제 항목들을 고려해 계산할 수 있습니다.
|
2024년 |
2025년 |
최저 시급 |
9,860원 |
10,030원 |
월급 |
약 206만원 740원 |
약 209만 6270원 |
연봉 |
약 2,472만 원 |
약 2,517만 원 |
*209시간 근무 기준(하루 8시간, 주5일의 월 근로시간 35시간 포함)
➕ 월급, 연봉 실수령액 계산 방법!
월급에서 소득세 및 4대 보험료와 같이 ‘세금’을 뺀 나머지가 실수령액이 됩니다.
● 공제 항목 :
(1) 소득세 및 지방소득세 약 3.3%
(2) 4대 보험료 : 국민연급,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
2024년 |
2025년 |
최저 시급 |
9,860원 |
10,030원 |
월급(세후) |
약 186만 원 |
약 189만 원 |
연봉(세후) |
약 2,241만 원 |
약 2,279만 원 |
*월 209시간 근무 기준(하루 8시간, 주5일 근무)
3. 최저임금 인상이 나에게 미치는 영향은?
최저임금 인상으로 어떤 변화를 맞이하게 될까요?
생활비 및 학비 부담 완화
급여가 인상되니 학비와 생활비를 준비하는 대학생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매월 약 3만원 정도를 추가로 벌게 되는 것이니 생활 유지에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인턴, 수습 등의 월급 증가
최저임금의 증가로 최저 연봉도 함께 증가하면서 인턴이나 수습 기간을 거치고 있는 분들의 월급도 덩달아 올라가게 됩니다. 이는 구직 활동 중인 취업준비생들에게 큰 도움이 됩니다.
✅ 2024 대기업 연봉도 확인해 보세요! 👉 주요 대기업 연봉 순위는?
최저임금 인상은 대학생과 취업준비생들에게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것입니다.
자신의 연봉 실수령액을 정확히 계산해보고, 최저임금 인상의 혜택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 💸2024 연봉 TOP 10 대기업 순위 (직원 연봉, 그룹사 평균연봉)
● 📌 대기업 수시채용 완벽 준비! 이력서•자소서 단계별 가이드
● 2024 현대자동차 생산직 채용 일정: 최신 정보와 준비 방법
● 삼성 자소서 문항 별 작성 & 답변 전략 📋
작성자 링커리어
신고글 2025 최저임금 1만 30원 확정! 내가 받게 될 연봉은?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