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채움공제란?
내일채움공제는 중소·중견기업 근로자의 장기 재직을 유도하고, 자산 형성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금융 상품입니다. 근로자와 기업이 공동으로 일정 금액을 적립하며, 일정 기간 근속 시 근로자는 적립금을 목돈으로 받을 수 있습니다. 이는 기업의 핵심 인력 유출을 방지하고, 근로자에게는 안정적인 자산 형성 기회를 제공합니다.
⚠️ 이번 개편된 '3년형 내일채움공제'는 '청년내일채움공제'와는 별개로, 중소·중견기업 핵심인력을 위한 장기 재직 지원제도입니다.
3년형 내일채움공제 출시 (NEW!)
기존 5년형 상품보다 가입 기간이 짧아진 3년형 내일채움공제가 2025년 2월 10일 출시되었습니다!
이는 근로자와 기업의 부담을 줄여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개편안입니다.
👀기존 5년형 vs 3년형 비교
구분 | 5년형 내일채움공제 | 3년형 내일채움공제 |
---|---|---|
가입 기간 | 5년 | 3년 |
근로자 적립금 | 월 12만원 | 월 12만원 |
기업 부담금 | 월 20만원 | 월 20만원 |
만기 지급액 | 약 3,000만원 | 약 1,800만원 |
조기 해지 시 불이익 | 있음 | 있음 |
3년형의 장점 👍
✅가입 기간이 짧아져 근로자의 부담 완화
✅기업도 부담을 줄이고 핵심 인력 유지 가능
✅보다 유연한 근속 유지 정책 활용 가능
내일채움공제 신청 대상 및 조건
🧑💼근로자 신청 대상
✔️중소·중견기업에 재직 중인 핵심 인력
✔️가입 당시 6개월 이상 근속한 근로자
✔️기업의 내일채움공제 가입 동의 필수
🏢기업 신청 조건
✔️중소·중견기업 (중소기업기본법 및 중견기업법 적용 대상)
✔️내일채움공제 가입을 희망하는 근로자를 보유한 기업
✔️기업 부담금 납부 가능 여부 확인 필요
내일채움공제 만기 지급액
내일채움공제는 근속 기간에 따라 만기 시 근로자가 수령할 수 있는 금액이 달라집니다.
※ 정부 지원금은 포함되지 않으며, 근로자와 기업이 공동으로 적립한 금액을 만기 시 근로자가 수령
내일채움공제 신청 방법
🧑💼근로자 신청 방법
(1) 가입 대상 확인
• 중소기업 재직 6개월 이상 근로자인지 확인
• 기업이 내일채움공제에 가입했는지 확인
(2) 신청 경로
• 중소기업진흥공단 홈페이지에서 온라인 신청 가능
• 기업은행을 포함한 지정 금융기관에서도 신청 가능
(3) 필요 서류 준비
근로계약서, 재직증명서, 기업의 내일채움공제 참여 동의서
(4) 기업과 함께 적립금 납부
근로자와 기업이 월 납입금을 적립하며, 근속 완료 후 만기 지급
🏢기업 신청 방법
(1) 신청 기관 방문 또는 온라인 신청
• 중소기업진흥공단 또는 기업은행을 방문하여 신청 가능
(2) 가입 대상 근로자 확인 후 서류 제출
• 근로자의 재직 여부 확인
• 내일채움공제 가입 신청서 및 기업 부담금 납부 계획 제출
(3) 월 납입금 적립 및 관리
• 기업과 근로자가 매월 정해진 금액을 납부
(4) 근로자가 일정 기간 근속 후 공제금 지급
자주 묻는 질문 QnA
1️⃣ 기업 부담금은 얼마인가요?
• 3년형: 월 20만 원
• 5년형: 월 20만 원
2️⃣ 중도 해지 시 불이익은?
근속 기간에 따라 일부 공제금을 지급받을 수 있지만, 만기 지급액보다 적을 수 있습니다. 기업이 해지할 경우 부담금 반환 의무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3️⃣ 내일채움공제는 누구에게 가장 유리한가요?
• 장기 근속을 희망하는 근로자
• 핵심 인력 유지를 고민하는 중소기업
• 세제 혜택을 받고 싶은 기업
내일채움공제는 중소기업 근로자의 장기 근속을 유도하고 자산 형성을 돕는 중요한 제도입니다. 특히 3년형 상품이 새롭게 출시되면서 보다 많은 근로자와 기업이 참여할 수 있는 기회가 확대되었습니다. 기업과 근로자 모두에게 유리한 조건을 확인하고, 가입을 고려해보세요!
🔍다른 콘텐츠가 궁금하다면? |
2025 국비 지원 신청 방법부터 혜택까지 한눈에 보기 |
2025 청년도약계좌 조건 확인하기 : 대학생, 군인, 백수도 가입 가능할까? |
작성자 링커리어
신고글 2025 내일채움공제 3년형 출시 정보: 신청 대상, 조건, 만기 지급액 총정리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