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년 공기업 순위, 연봉과 선호도 모두 고려하면 어디가 좋을까?
A. 2025년 공기업 순위는 신입사원 연봉 수준과 대학생·취준생 선호도 조사에 따라 달라집니다.
연봉만 높은 곳보다 채용 규모, 안정성, 직무 매력도까지 함께 고려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에서 ① 연봉 기준 순위와 ② 선호도 기준 순위를 나누어 정리했습니다.
1. 공기업 연봉 순위 (2025년 신입사원 기준)
2025년 기준으로 신입 초봉이 가장 높은 공기업은 IBK기업은행이었습니다.
금융권 공기업이 상위권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외에도 신용보증기금, 한국산업은행, 기술보증기금 등의 보증기관과 특수 은행들이 높은 연봉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2025 공기업 연봉 순위 | |||
순위 | 기업명 | 신입 초봉 | 평균 연봉 |
1위 | IBK기업은행 | 5,466만원 | 7,088만원 |
2위 | 기술보증기금 | 5,215만원 | 9,407만원 |
3위 | 한국산업은행 | 5,192만원 | 6,324만원 |
4위 | 한국연구재단 | 5,102만원 | 9,141만원 |
5위 | 신용보증기금 | 5,097만원 | 6,202만원 |
6위 | 한국원자력통제기술원 | 4,976만원 | 8,562만원 |
7위 | 한국수출입은행 | 4,967만원 | 6,227만원 |
8위 | 인천국제공항공사 | 4,790만원 | 8,874만원 |
9위 | 한국해양진흥공사 | 4,692만원 | 7,563만원 |
10위 | 한국가스공사 | 4,605만원 | 9,028만원 |
🔵 공기업&공공기관 연봉 특징
(1) 상위권은 주로 금융 계열(IBK, 산은, 신보, 기보)과 연구·기술기관이 차지
(2) 금융권 공기업은 성과급이 높고 연봉이 안정적으로 보장됨
(3) 연구기관·병원은 전문직 위주 채용이 많아 연봉이 상대적으로 높음
2. 대학생·취준생 선호도 공기업 순위 (2025년 설문 조사 기준)
연봉뿐 아니라 취준생이 가장 가고 싶어 하는 공기업도 따로 조사됩니다. 선호도 기준 상위 기관은 다음과 같습니다.
2025 대학생·취준생 선호 공기업 순위 | |||
순위 | 기업명 | 선호 이유 | |
1위 | 한국전력공사(한전) | 국내 최대 전력 공기업, 고용 안정성 | |
2위 | 인천국제공항공사 | 글로벌 환경, 공항 근무 매력도, 복리후생 우수 | |
3위 | 한국가스공사 | 에너지 안정성, 높은 초봉, 지역 근무 다양성 | |
4위 | 한국수자원공사(K-water) | 환경·수자원 분야 선호, 공공성 강함 | |
5위 | 한국토지주택공사(LH) | 채용 규모가 크고 정책적 영향력 큼 | |
6위 | 국민연금공단 | 사회보장 제도 핵심, 복리후생 안정적 | |
7위 | 건강보험공단 | 전국 근무 가능, 워라밸 만족도 높음 | |
8위 | 한국도로공사 | 인프라 안정성·지역 근무 기회 | |
9위 | 한국수력원자력 | 원전·에너지 분야 전문성 | |
10위 | 한국주택금융공사 | 주택금융 지원 핵심, 금융·복지 융합형 기관 |
🔵 공기업&공공기관 선호도 특징
(1) 연봉보다는 채용 규모, 공공성, 사회적 안정성을 중시하는 경향이 강함
(2) 에너지·인프라 계열(한전, 가스공사, 수자원공사) 생활 밀접형 복지 기관(건보, 연금공단)이 인기
3. 취준생을 위한 선택 전략
공기업 취업을 준비할 때는 단순히 순위를 확인하는 것에서 끝나지 않습니다.
실제로는 채용 규모, 직무 적합성, 시험 준비 방법, 근무 환경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합니다.
(1) 연봉형 vs 안정형, 어떤 기준으로 선택할까?
✅ 연봉형(금융·연구기관 중심)
EX) IBK기업은행, 한국산업은행, 신용보증기금, 기술보증기금처럼 연봉이 높은 기관
a. 장점: 빠른 소득 성장 가능, 성과급 반영으로 보상 체계 확실
b. 단점: 채용 인원 적음, 전문 자격증이나 금융 관련 지식이 필수라 진입 장벽이 높음
c. 어울리는 지원자: 상경계 전공자, 금융권 경험자, CPA·금융자격증 준비자
✅ 안정형(에너지·복지 공기업 중심)
EX) 한국전력공사, LH, 국민연금공단, 건강보험공단처럼 선호도가 높은 기관
a. 장점: 대규모 채용, 워라밸 우수, 근속연수가 길어 안정성 확보
b. 단점: 경쟁률이 매우 높고, 연봉 상승 폭이 금융권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
c. 어울리는 지원자: 장기 근속志가 강한 취준생, 사회 안정·복지 분야 관심자
(2) 전공·역량 매칭 전략은?
✅ 이공계 전공자
a. 추천 기관: 한국전력, 한국수력원자력, 도로공사, 수자원공사
b. 준비 방법: 기사 자격증(전기기사, 토목기사, 환경기사) + NCS 실무형 문제
c. 이유: 전력·토목·건설·환경 분야에서 기술직 채용 다수
✅ 상경계 전공자
a. 추천 기관: 금융 공기업(IBK, 산은, 신보, 기보), 한국주택금융공사
b. 이유: 금융·재무·기획 직무에서 상경계 배경 선호
c. 준비 방법: 회계/재무 기본기 + 금융자격증(신용분석사, AFPK, CPA 기초 등)
✅ 인문사회계열 전공자
a. 추천 기관: 국민연금공단, 건강보험공단, LH
b. 이유: 행정·경영·법무 등 다방면 직무 존재, 전공 제한이 상대적으로 약함
c. 준비 방법: 행정/법 관련 기본 지식 + NCS 직업기초능력 강화
4. 공기업 순위 관련 FAQ
Q1. 연봉 TOP 공기업과 선호도 TOP 공기업이 왜 다르나요?
A. 연봉은 금융·연구기관이 높지만 채용 규모가 작고 진입 장벽이 높습니다.
반면 선호도는 대규모 채용 + 안정적 복지가 있는 기관이 앞섭니다.
Q2.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선호도 TOP10에 포함된 이유는?
A. 주거 안정과 금융 지원을 동시에 다루며, 공공성 + 금융 전문성이 결합된 매력적 직무 구조 때문입니다.
Q3. 지원할 때 연봉이 중요한가요, 선호도가 중요한가요?
A. 연봉은 입사 후 동기부여 요인, 선호도는 실제 취업 기회와 직무 적합성을 반영합니다.
두 가지를 모두 고려해야 합니다.
작성자 링커리어
신고글 [2025 공기업 순위] 연봉·취준생 선호도 기준 총정리 (공공기관 신입 초봉 및 평균 연봉)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