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수능 등급컷이란 무엇인가요?
등급컷이란 원점수(정답 기준 점수)에 따라 1등급, 2등급 등의 구간을 정한 기준입니다.
시험 난이도와 응시자 성적 분포에 따라 매년 변동하며, 교육부 및 평가원이 확정 발표합니다.
- 원점수 기준: 정답 개수 기준
- 표준점수 / 백분위 기준 병행 사용
- 확정 등급컷 발표 시점 : 보통 수능 후 1~2주 내 발표
예: 국어 1등급 컷이 95점이라면, 국어 시험에서 95점 이상이면 1등급 판정되는 식입니다.
2. 2025 등급컷
🔵국어 화법과 작문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백분위 |
1등급 | 95 | 131 | 96 |
2등급 | 88 | 125 | 89 |
3등급 | 79 | 117 | 77 |
4등급 | 69 | 107 | 60 |
5등급 | 58 | 96 | 40 |
6등급 | 45 | 84 | 23 |
7등급 | 33 | 72 | 11 |
8등급 | 23 | 63 | 4 |
🔵국어 언어와 매체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백분위 |
1등급 | 92 | 131 | 96 |
2등급 | 86 | 125 | 89 |
3등급 | 77 | 117 | 77 |
4등급 | 66 | 107 | 60 |
5등급 | 55 | 96 | 40 |
6등급 | 42 | 84 | 23 |
7등급 | 30 | 72 | 11 |
8등급 | 20 | 63 | 4 |
🔵수학 확률과 통계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백분위 |
1등급 | 94 | 131 | 97 |
2등급 | 84 | 124 | 90 |
3등급 | 75 | 117 | 76 |
4등급 | 65 | 110 | 59 |
5등급 | 47 | 96 | 40 |
6등급 | 22 | 78 | 23 |
7등급 | 14 | 72 | 11 |
8등급 | 10 | 70 | 5 |
🔵수학 미적분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백분위 |
1등급 | 88 | 131 | 97 |
2등급 | 77 | 123 | 89 |
3등급 | 69 | 117 | 76 |
4등급 | 61 | 110 | 59 |
5등급 | 42 | 96 | 40 |
6등급 | 18 | 78 | 23 |
7등급 | 10 | 72 | 11 |
8등급 | 6 | 69 | 4 |
🔵수학 기하
등급 | 원점수 | 표준점수 | 백분위 |
1등급 | 90 | 131 | 97 |
2등급 | 79 | 123 | 89 |
3등급 | 72 | 117 | 76 |
4등급 | 63 | 110 | 59 |
5등급 | 45 | 96 | 40 |
6등급 | 22 | 78 | 23 |
7등급 | 14 | 72 | 11 |
8등급 | 10 | 69 | 4 |
3. 등급컷 발표 이후 대학전형에서의 활용 방식
1) 정시 커트라인 설정
대학들은 과목별 등급컷과 표준점수를 참고해 정시 지원 커트라인을 설정합니다.
2) 환산 점수 반영
등급 → 점수 환산 방식으로 변환하여, 총점 경쟁에 반영합니다.
3) 수능 활용 전형별 차이
- 일반전형: 등급 경쟁이 치열
- 지역균형, 학생부 연계 전형: 등급컷이 낮더라도 학생부 반영 중요성 있음
4. 등급컷 예측 시 유용한 팁
- 이전년도 및 최근 3~5년 추이 분석
- 모의고사 및 학평 등급컷 비교
- 과목 난이도, 출제 경향 변화 체크
- 수험생 분포와 상향 지원 여부 고려
5. 백분위 계산 방법
백분위 = [(전체 응시자 수 - 해당 점수 이하 인원 수) ÷ 전체 응시자 수] × 100
하지만 실무에서는 일반적으로 표준화된 성적표 데이터에서 백분위 값이 자동 제공되며, 수험생이 직접 계산하지는 않습니다. 그래도 이해를 돕기 위해 예시를 들어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 예시 |
전체 응시자 수: 100,000명 어떤 수험생의 점수보다 낮은 인원 수: 75,000명
백분위 = (75,000 ÷ 100,000) × 100 = 75 → 이 수험생은 상위 25% 안에 속한 것이고, 백분위는 75입니다. |
백분위, 표준점수, 등급 차이를 비교해보자면 아래와 같습니다.
구분 | 의미 | 특징 |
백분위 | 상대적으로 위에 있는 수험생 비율 | 대학에 따라 반영 여부 다름 |
표준점수 | 시험 난이도 보정된 상대 점수 | 국·수 주로 사용 |
등급 | 대적인 점수 구간 (1~9등급) | 입시에서 가장 기본적 기준 |
✅ 실전에서 백분위 활용법
- 수능 성적표에는 표준점수 + 백분위 + 등급이 함께 제공됨
- 정시에서는 대학별 전형 기준에 따라 다르게 활용됨
( 예: 어떤 대학은 수학은 표준점수, 영어는 등급, 탐구는 백분위를 환산하는 식)
6. 주요 대학별 2025 정시 입결 (평균 100분위 기준)
🏫백분위별 대략적인 지원 가능 대학 |
백분위 94 이상: 연세대, 고려대, 성균관대, 한양대 등 상위권 대학 |
백분위 93: 서강대(상경) 등 |
백분위 92: 성균관대, 한양대 등 |
백분위 90~91: 중앙대, 경희대(상경), 시립대 등 |
백분위 80대: 일부 인서울 대학, 예를 들어 백분위 79 정도면 상명대 등 일부 대학 합격 가능 |
FAQ
Q1. 확정 등급컷은 언제 발표되나요? |
보통 수능 시행 후 1~2주 내 교육부 및 평가원 공식 발표로 확정됩니다. |
Q2. 등급컷과 표준점수 어느 것이 더 중요하나요? |
대학별 전형에 따라 다르지만, 현재는 표준점수 + 등급 환산 점수 병행이 일반적입니다. |
함께 보면 좋을 글
링크를 Click! 해보세요 🖱️ |
대학교 족보 사이트 추천|2025년 족보 구하는 법과 주의사항 총정리 |
취준생 / 대학생 맞춤형 AI 사이트 모음(이미지 생성, AI 사이트 순위, 무료 생성형 등) |
대학생 GPT 활용법|과제 프롬프트·할인 혜택 총정리 |
작성자 링커리어
신고글 2025 수능 등급컷 (원점수, 확정 등급컷, 백분위, 성적별 대학교)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