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 23기 이주빈입니다!
이번 주는 대학생 꿀팁 콘텐츠로 찾아왔습니다!
저 역시 기숙사 거주 경험이 있지만, 저보다 더 오래, 무려 3년째 거주하고 있는 동기의 꿀팁을 전부 털어왔습니다 ㅎㅅㅎ
그럼 한 번 보러 가보실까요?!
학년이 올라가며 많은 동기들이 기숙사를 떠났는데요, 그럼에도 3년간 기숙사 거주를 결심하게 된 이유에 대해 물어봤습니다. 첫 번째 이유는 저 역시 너무 공감하는데요,,, 기숙사에 살던 시절에는 전공관과 거주 공간이 가깝다는 것이 큰 이점이라는 사실을 잘 인지하지 못했던 것 같아요 허허(._. 학년이 올라가고 전공 수업이 점점 많아지니 전공관과 가깝다는 것이 가장 큰 장점이더라고요! 자취보다도 더욱 가깝다는 점이 최고 장점...!! 더불어 저희 기숙사는 입사 시 하루 세 끼의 식대를 전부 지불하는데요, 그래서 매 끼니를 기숙사 식당에서 해결할 수 있다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학교마다 끼니를 선택하거나 식권을 사용하는 등 방식은 다양할 수 있어요! 마지막으로 자취에 비해 안전하다는 점입니다. 동기는 겁이 많은 편이라 혼자 사는 것보다 관리자와 통금이 있는 기숙사에 사는 것이 훨씬 심적으로 편안하다고 하네요!
그럼에도 기숙사는 다른 사람과 함께 사는 공간이기에 불편한 점이 있을 수밖에 없습니다. 저는 거주하며 룸메와 생활 패턴 및 방식이 너무나도 달라서 힘들었던 경험이 있는데요, 특히나 흡연 등의 문제는 정말 큰 스트레스가 되기도 하더라고요...! 그렇지만 동기 왈,,, 학년이 올라가며 기숙사 체류 시간이 적어지다 보니 룸메와는 잘 맞지 않아도 큰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합니다(._. 또한 한 시부터 다섯 시까지 걸려있는 새벽 통금과, 정해진 식사 시간은 일정이 늦게 끝나는 날이나 수업과 겹치는 날에 조금 곤란한 요소가 되기도 합니다. 마지막으로 저희 학교 기숙사는 냉장고 등 높은 전력을 사용하는 전자제품의 반입이 까다로워 배달음식이 남는 경우에는 보관하기 조금 곤란한 상황에 이르기도 합니다.
그렇다면 기숙사 거주 시 가지고 있으면 좋을 꿀템이 있을까요? 가장 먼저 청소를 위한 미니 청소기와 밀대입니다. 청소기를 매번 행정실에서 대여하기는 번거로운데, 청소기가 있다면 그런 불편이 덜어진다고 해요! 밀대와 청소포 역시 허리가 아프지 않으면서도 바닥을 깨끗이 청소할 수 있는 물건이라고 하네요!
다음으로 박스테이프와 책상용 스탠드입니다. 아무리 장기 거주를 신청한다고 해도 기숙사를 필수로 비워야 하는 시즌이 생기곤 합니다. 그럴 경우 본가로 미리 택배를 보내거나, 기숙사에 짐 보관을 신청하기도 하는데요, 그 때 꼭 필요한 것이 박스테이프입니다! 짐을 싸는 용도 뿐만 아니라 테이프가 있으면 은근 유용하게 자주 사용되니 하나쯤 구비하는 것을 추천드려요! 스탠드는 단체 생활 매너를 위해 필요한 물품이겠지요?! 룸메가 잠에 든 시간 해야 할 일이 남아있다면 스탠드를 켜고 일을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조리 시설이 없는 기숙사에서 야식을 담당하는 것은 즉석식품입니다. 특히나 시험기간에 정말 많이 먹었던 기억이 있어요...ㅎㅎ... 또한 저희 학교 기숙사는 층마다 공용 정수기가 놓여있는데, 정수기와 먼 방에 당첨되면 물을 뜨러 가기도 귀찮으니 텀블러에 가득 담아 마시는 방법을 고를 수도 있습니다. 덜 귀찮고 지구도 지키고 일석이조! 마지막으로 설거지 용품이 있다면 텀블러를 조금 더 청결하게 사용할 수 있어요!
그렇다면, 기숙사에 거주할 때 유의할 점이 있을까요? 기숙사는 모두가 함께 사는 공간인 만큼 타인을 배려하는 태도가 필수적으로 필요합니다. 룸메 뿐만 아니라 층에서 너무 큰 소란은 삼가는 게 맞겠지요?! 그리고 세탁기나 전자레인지 등 공용 물품이 고장나면 모두가 피해를 보니 시설을 아껴 써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룸메가 아니라면 만날 일 없었을 인연을 소중히 여기고 새로운 추억을 가득 쌓는 것도 추천드려요 :))
여러분의 슬기로운 기숙사 생활을 응원해요!
작성자 jojeol1213
신고글 [대학생 꿀팁] 3년차 긱사러가 알려주는 대학교 기숙사의 모든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