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 24기 김민수입니다!
등하교부터 출퇴근까지,
우리의 발이 되어주는 대중교통!
하지만 교통비도 매달 만만치 않게 나가는데요,
그래서 오늘은 많은 분들이 고민하시는
K-패스와 기후동행카드를 비교해보도록 할게요!
K-패스
K-패스는 국토교통부에서 지원하는 환급형 교통패스로,
이미 많은 분들께서 이용해주고 계시는데요,
만 35세 미만의 청년이라면
월 사용 금액의 30%를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
여기에는 약간의 조건이 따르는데요,
- (필수)월 15회 이상 이용
- (최대)일 2회, 월 60회 환급
즉, 아무리 높은 금액을 지불하였더라도,
15회 미만으로 이용하였다면 환급금은 0원입니다😭
또한 최대 환급 횟수가 지정되어 있지만,
높은 금액 순으로 자동 산정되며,
일부 지자체에서는 무제한 환급을 진행중입니다!
(아래에서 더 자세히 살펴볼게요)
그리고 전국 대부분의 지자체에서 적립이 가능하지만,
아래 지자체는 미참여 지자체로 적립 대상이 아닙니다.
[K-패스 적립 미대상 지역]
강원: 고성, 양구, 정선
경북: 봉화, 울릉, 울진, 영덕, 영양, 예천, 의성, 청도, 청송
전남: 강진, 구례, 보성, 완도, 영광, 영암, 진도
위의 지자체들은 K-패스 기본 혜택에 더해
추가 혜택을 제공하고 있는 지역인데요,
청년들이 받을 수 있는 혜택을 중심으로 가져와봤어요!
가장 대표적인 혜택인
"청년 39세 연장 + 무제한 환급"은,
경기 / 인천 / 경남 / 울산 지역에서 시행중입니다!
기존 K-패스 청년 혜택이 34세까지만 적용되는 점과,
월 최대 60회까지만 적립이 가능하다는 점을
강력하게 보완해주는 혜택입니다.
광주에서도 "청년 39세 연장"
혜택은 시행중입니다!
부산과 세종의 경우,
지자체의 자체 혜택과 K-패스 혜택을
자동으로 산정하여 지급하고 있습니다!
충남 지역의 경우에는,
경기, 충북, 대전, 전북 등 타 지자체와
맞닿은 지역의 특색을 살려,
타 지자체로 오가는 교통수단 환승 요금을 지원합니다!
기후동행카드
기후동행카드는 K-패스에 앞서 출시된
서울시에서 지원하는 무제한 교통카드입니다!
현재 후불제 카드도 출시되었지만,
아직 선불 형태의 카드가 널리 사용되고 있어요.
K-패스와는 다르게 청년 기준이 39세 이하이고,
대부분 서울시내에서만 사용이 가능해요.
또한, 따릉이와 한강버스가 결합된 요금제도 있어요!
기후동행카드는 지원 구간이 지정되어 있어
구역을 벗어나면 승하차가 되지 않습니다!
[전철]
일부 지자체의 경우 서울시와 협약을 맺고,
특정 전철역까지 기후동행카드 사용이 가능합니다.
따라서 해당 구역이 경기도까지 넘어가는 경우도 있는데요,
기후동행카드로 이용이 가능한 전철 구간은 다음과 같습니다!
1호선: 도봉산~온수(경인선) / 금천구청(경부선)
2호선: 전 구간
3호선: 전 구간
4호선: 진접~정부과천청사
5호선: 전 구간
6호선: 전 구간
7호선: 장암~온수
8호선: 전 구간
9호선: 전 구간
공항철도: 서울역~김포공항
수인분당선: 청량리~오리
경의중앙선: 탄현~서울역(경의선) / 구리(중앙선)
경춘선: 청량리~신내
경강선: 판교~이매
서해선: 일산~김포공항
신림선: 전 구간
우이신설선: 전 구간
김포골드라인: 전 구간
출퇴근 시 많이 이용하시는
신분당선이나 GTX는 사용이 불가능합니다!
[버스]
버스의 경우에는 조금 더 까다로운데요,
서울시 면허를 가지고 있는
시내(지/간선), 마을, 심야버스는 적용되고,
광역버스나 광역급행버스(M버스),
그리고 서울로 진입하는 타 지자체 버스는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
단, 서울시 면허를 가진 시내버스가
경기도까지 가는 경우에는 사용이 가능합니다!
그렇다면 각 카드,
누가 쓰면 좋을까요?
먼저 서울에 거주하는 청년이라면,
월 교통비가 78,750원 이상 >> 기후동행카드
월 교통비가 78,750원 이하 >> K-패스
위와 같이 이용하시는 것이 가장 합리적입니다!
하지만 경기도나 인천에서
장거리 통학/통근을 하고 계시다면...
광역버스나 GTX, 신분당선을 이용하고 계시거나,
기후동행카드 미적용 지역을 통과하실 가능성이 높으므로
K-패스 이용을 추천드립니다!
서울에 살지 않으니
기후동행카드는 선택지에도 없으시다고요?
내년에는 K-패스 역시
정액권 형태의 신규 패스가 신설됩니다!
지역별로, 이용 금액별로 새로운 선택지가 하나 더 생기니,
출시까지 지속적인 관심 부탁드립니다!
여러분의 교통비가 조금이라도,
더 유용한 곳에 쓰이길 바랍니다!
K-패스 및 기후동행카드 정책은
수시로 변동될 수 있으니,
정확한 내용은
직접 접속하여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지금까지 링커리어 콘텐츠에디터 24기
김민수였습니다!
더 많은 청년정책과 취업정보는
링커리어에서!
작성자 만만만
신고글 [교통비 아끼기 꿀팁] K-패스 vs 기후동행카드, 아직도 고민하세요?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