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 8기 댕쿠입니다😊
요즘 시험과 과제로 정말 바쁘실텐데요! 우리가 레포트 쓰는 법은 잘 알아도 참고문헌 작성법은 잘 모르겠죠?😥
그래서!! 오늘은 대학생 여러분들이 많이 헷갈리고 어려워하시는
“참고문헌 작성법”에 대한 소개를 해드리려고 합니다😍
여기서 문제! 레포트는 그냥 작성하고 제출만 하면 끝일까요 ??
삡- 아닙니다 !!😥
양질의 내용도 중요하지만 지적재산권은 소중하고 보호받아야만 하는 것이기 때문에
올바른 레포트 작성을 위해서 우리는 정확한 참고문헌 표기법을 알아야해요!
그리고 우리가 참고한 자료에 따라 그 표기법을 달리 해줘야 하는데요,
제가 차근차근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첫 번째는 대학생들이 가장 많이 참고하는 자료인 “학위&논문”의 출처 표기법입니다.
대학생들이 RISS나 NDSL 같은 곳에서 논문을 많이들 참고하시는데요 !
이때 참고문헌 작성은 <저자(연도), 논문명, 학회자명, 권(호), 인용페이지> 순으로 작성해주시면 될 거 같습니다 :)
두 번째는 “책”의 참고문헌 표기법입니다.
책은 <저자(출판년도), 책이름, 출판사, 인용쪽수> 순으로 적어주시면 됩니다 😊
그런데 번역서의 경우에는 옮긴이까지 표기해주셔야 하는데요!
책 이름 뒤에 적어주시면 된답니다
세 번째는 가장 쉽게 접할 수 있는 참고자료인 “인터넷 자료” 입니다.
단, 인터넷 자료는 쉽게 찾을 수 있는만큼 해당 자료가 믿을만한 자료인지를 꼭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류가 있는 경우가 생각보다 많다고 합니다😥
인터넷 자료는 <글쓴이, 제목, 사이트 이름, URL주소, 참고한 날짜> 순으로 참고문헌을 표기해주시면 됩니다
네 번째는 다양한 분야의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신문기사” 입니다.
디지털 매체가 발달한 요즘같은 시대엔 신문을 많이 참고하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세간의 흐름을 읽는 데에는 신문만큼 좋은 게 또 없죠?
산문은 <기사제목, 신문이름, 신문발행일, 면수> 순으로 참고문헌을 표기해주시면 됩니다 😊
그리고 인터넷 신문기사의 경우에는 인터넷 자료 출처대로 표기해주면 된다고 하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마지막은 “사전”입니다.
레포트는 정확한 용어 정의를 내려야 하기 때문에 사전참고법 역시 알아두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
참고 문헌 표기는 < 필자명, “용어”, 사전이름, 출판사, 출판년도> 순으로 나열해주시면 될 것 같아요
사전에 대한 참고문헌을 작성할 때는 용어에 꼭 큰 따옴표를 붙여야 한다는 점도 잊지마세요!
매번 작성하는데도 헷갈리는 참고문헌 표기법! 이제는 다들 정확히 정리하셨으니 헷갈리지 않겠죠??
이 참고문헌들을 이제 어디에 첨부해야할까요??
참고문헌 첨부하는 방법은 크게 3가지가 있는데요,
첫 번째는 해당 문장의 맨 끝에다가 적는 방법입니다.
두 번째는 각 페이지마다 각주를 다는 방법입니다.
세 번째는 마지막 장에 한 번에 적어주는 방법입니다.
자 여기까지 참고문헌 표기법에 대한 모든 것이었습니다 🤩
오늘도 도움이 되셨기를 바라면서 더 많은 정보는 “링커리어”에서 만나보세요😁
작성자 댕쿠
신고글 레포트 참고문헌 작성이 어렵다구? 새내기들 주목! 일단 드루와~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