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 8기 조아_입니다 ✨
다들 따뜻한 크리스마스 보내셨나요?
2022년이 코 앞으로 다가온 지금,
한 해의 마무리 잘 하시길 바랄게요!
오늘 가지고 온 콘텐츠는
‘새내기를 위한 수강신청 꿀팁’입니다.
이제 한 해가 마무리가 되고
곧 새내기분들께서 대학교를 입학하실 텐데요!
그분들을 위한 시간표 짜기 꿀팁 콘텐츠 입니다!
함께 살펴보실까요?
1.시간표 관련 플랫폼 활용하기
시간표를 짤 때, 혹은 만들 때
시간표 관련 플랫폼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특히
'에브리타임'
바로 대학생 필수 어플이기도 한데요!
학교, 전공에 맞는 시간표, 이수 학점, 평점 등을
한 눈에 볼 수 있고
강의 평가와 시험 정보 꿀팁까지
얻을 수 있으니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좋겠죠?!
2. 졸업 필수 전공 확인하기
시간표를 짤 때
자신 전공 필수 과목과
필수 교양 과목을 확인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학교, 학과마다 필수적으로 들어야 하는
강의들이 있을 텐데요.
아무래도 수강신청 경쟁률이
치열하기도 할 것이고
미리미리 전공 학점을 따두는 것이
졸업할 때 좋겠죠?
졸업 필수 전공 고려해서 시간표 짜는 것을
추천드릴게요!
3. 다양한 플랜 마련해두기
수강신청을 할 때
경쟁률이 치열한 과목은 못 잡을 수도,
한꺼번에 많은 학생들이 접속해
사이트 서버가 마비될 수도 있는데요.
이럴 때를 대비해 제1플랜 이외에도
다양한 경우의 플랜을 세워두는 것이 좋습니다!
제1순위 과목을 못 잡았을 시에
바로 다른 과목을 신청할 수 있도록
여러 플랜을 마련해두는 것을 추천드려요!
4. 우주공강 피하기
시간표를 짤 때 중요한 것 중 하나가
물론 듣고 싶었던 강의를 신청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그만큼 중요한 것이 바로
낭비되는 시간이 없도록 하는 것인데요.
잘못하다간 강의와 강의 사이의 시간이
너무 남아서 2~3시간 이상을
아무것도 안 한 채로 보낼 수도 있으니
이러한 상황을 피하기 위해선
되도록 우주공강을 피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특히 통학생분들!
5. 새로고침은 신중하게
수강신청 도중 서버가 마비가 되거나
렉이 걸리는 경우가 많을 건데요.
이럴 때는 보통 기다리는 것이 좋은 거 같습니다!
자칫 새로고침을 눌러서
순서가 뒤로 밀린다든가,
아예 서버에 재접속이 되지 않든가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인데요.
그러니 새로고침은 최대한 신중하게
판단해서 누르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6. 단대별 이동 시간 고려하기
학교마다 다르겠지만
보통 대학교의 쉬는 시간은 15분 정도입니다.
물론 이 사이에 수업을 들을 강의실로
이동을 해야 하는데요!
간혹 강의실 사이의 거리가 너무 멀어서
이동하기에 시간이 빠듯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래서 강의가 끝나자마자 뛰어야 하는 경우도,
교수님께서 강의를 늦게 마무리 지으시는 경우엔
제 시간에 출석을 못 할 수도 있습니다.
그러니 단대별 이동 시간을 고려하여
시간표를 짜는 게 좋겠죠?
7. 시계 사이트 미리 준비해두기
수강신청은 그날 사용한 PC와 모바일 기기가
얼마나 서버를 잘 들어가냐의 싸움과 더불어
시간의 싸움도 있기도 한데요.
정말 재빠르게 사이트에 접속해서
본인이 원하는 강의를 신청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보통 많은 학생들이 시계 사이트를
미리 열어두어 준비를 하는데요!
보다 빠르고 정확한 접속을 위해
네이비즘, 타임시커, 네이버 시계 등
시계 사이트를 미리 열어두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8. 시험기간 고려하기
보통 대학의 시험은 원래 진행되었던
전공 수업 시간에 이루어지는 경우가 있습니다.
(물론 대형 학과나 대규모 강의는 아닌 경우도 많습니다.)
이럴 때 가령 본인이 하루에 4과목을 듣는다고 하면
자칫하다가 하루에 4과목의 시험을
쳐야 할 수도 있는 것이죠!
이를 예방하기 위해 시험기간을 고려해서
시간표 내 강의들을 적절히 나눠서
신청하시는 것도 추천드립니다!
오늘 콘텐츠도 유익하게 잘 보셨나요?
저는 다음에 또 양질의 정보로 찾아뵙도록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더 많은 정보를 원하시면
링커리어 사이트를 방문해 주세요! ✨
작성자 조아_
신고글 시간표 짜기 힘들어? 그렇다면 주목, 새내기들을 위한 수강신청 꿀팁!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