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원시기:2019년 상반기
면접일:2019.5월
1.서류
서울 중상위권 어문,토익 990,DELE B2, 마케팅 대외활동 대략 30회, 공모전 수상 1회
카카오는 굳이 학교나 성적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자신이 지원하는 직무에 관련 된 과나 성적이 좋다면 쓰는게 플러스겠죠?
카카오에는 프로젝트 경험을 쓰는 칸이 있는데 꼭 안쓰셔도 되지만 저는 쓰는걸 추천합니다.
저는 대외활동을 좀 많이했고 수상을 한 경험도 있어서 지원하는쪽이 마케팅 쪽이였기때문에 프로젝트 경험에 그점을 담았습니다.
실제로 면접에서 제 서류를 보고 기존에 했었던 일과 비슷할 거라고 말씀해주셨습니다.
이게 플러스가 된 것같고 이외에 인턴 경험은 없습니다.
영어 점수나 외국어 점수는 중요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다만 저는 IT회사에서 일한 적이 있고, 집도 가까워 조금 유리했던 것 같습니다.또한 대외활동에서 수상경험도 다적었고 이게 면접 질문으로도 나왔습니다. 그냥 모든 경험을 쓰는걸 추천드립니다.
2.면접 준비
사실 어시스턴트는 인턴+아르바이트의 개념으로 카카오에서 뽑는 특별한 전형입니다. 정규직 전환은 거의 없는 걸로 알고 부서마다
일 강도가 달라 진짜 인턴같은 어시도 있고 알바같은 어시도 있습니다. 또 더나아가면 정직원보다 일 많이하는 어시도 있습니다.
부서를 잘만나야하고 카카오가 크기때문에 어시스턴트도 자주 뽑습니다. 카카오에 관심있다면 카카오 커리어스를 주기적으로 보는것을 추천합니다. 저는 인턴하는 일에 가까운것 같고 여태 했던 일중 가장 재미있는 것 같습니다. 다만 조금 힘듭니다.
- 기존에 네이버 등 IT기업에서 잠깐 일을 했는데 그 점도 면접에서 많이 도움됐습니다.IT 회사는 특유의 분위기가있기 때문에
기존에 하셨던 분들은 더 도움이 많이 되실거에요!
인턴도 아니고 어신데 뭐 면접 준비할게 있어 하겠지만 어시 면접도 토론식으로 진행되는 부서도 있습니다.
또는 미리 사전과제를 부여받기도 합니다. 저희 부서는 사전과제는 없었지만 같이 들어온 다른 어시분은 있었다고 들었습니다.
면접 시간도 천차만별입니다. 저는 2~30분 가량 면접을 보았으나 1시간 넘게 보시는 분들도 많다고 들었습니다.
개인적으로 저는 2~30분 면접에서 제 모든것이 공개됐다고 생각합니다. 다대일로 진행됐는데 그정도로 자세하고 가치관,인성면접 위주로 물어보는 것 같습니다. 막상 실무에 관해선 별로 안물어봤던 것같습니다. 아마 프로젝트 경험에 많이 써서 그런걸수도?
-다시 돌아와서 면접 준비는 주로 블로그를 찾아봤습니다. 정보가 다른 인턴에 비해 생각보다 많은 편은 아닙니다. 그래도 합격자 자소서와 포트폴리오가 많이 도움이 되었으니 꼭 검색해보세요! 그리고 가장 중요한 건 공고에서 하는 일을 참고해 면접 예상질문과 제가 쓴 자소서를 바탕으로 예상 질문을 다 만들어뒀습니다. 그래서 면접에서 더듬는거 없이 잘 말했던 것 같습니다.
자소서 숙지는 필수인거 다들 아시죠?
3.면접: 면접은 앞서 말씀드렸다 싶이 인성면접 위주의 다대일 면접이였습니다. 주로 가치관과 단점,장점에 대해 물어봤고 같이 일하기 좋은 사람인지 보는 느낌이 더 강했습니다. 하지만 인성면접 이외에도 제가 지원한 서비스의 아이덴티티, 개선방법, 이용후기 등을 물어봤고 지원한 서비스는 알아가는게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4.느낀점
공채도 아니고 정규직 전환 되는 것도 아니나 많은 것을 배울 수 있는 기회가 될 것 같습니다. 카카오에 관심이 있다면 어시스턴트를 통해 사내 문화와 프로세스를 이해할 수 있을 기회가 될 거라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역시 it회사인만큼 정직원은 거의 이과출신이라 문과가 지원할 수 있는 직무는 많지 않습니다. 하지만 전 이번 기회로 카카오에 도전해보려고 합니다! 또 이회사의 장점은 실무진들이랑 평등하게 일할 수 있고 카카오인만큼 대단하신 분들이 많기 때문에 취업을 할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다고 느껴집니다. 여러분들도 다들 원하시는 기업 취뽀하시길 바랍니다.
자료출처 : 스펙업
https://cafe.naver.com/specup/5921227
작성자 스펙지키미
신고글 2019 카카오 어시스턴트 합격 후기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