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blog.naver.com/ai-techblog/223511266522
면접도 코딩테스트와 같은 장소인 용인에 있는 인재개발원에서 진행을 했습니다.
지참서류: 졸업(예정)증명서, 성적 증명서 등
복장: 비즈니스 캐주얼 또는 정장
1. 면접개요 |
면접구성: 직무역량평가(30분), 임원면접(30분), 창의성면접(30분)
직무역량면접 및 창의성면접은 사전 문제풀이 후 면접을 실시합니다.
개발직무 석사 지원자는 입사지원시 제출한 전공소개서로 직무역량면접을 실시합니다.(사전 문제풀이 미실시)
사람마다 세 가지 면접 순서는 다 다르게 구성되어있습니다.
하나의 면접이 끝나고 바로 다음 면접에 들어가는 사람도 있고, 대기를 몇 시간씩 하다가 다음 면접이 있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저는 임원면접 -> 직무역량평가 (전공면접) -> 창의성면접 순으로 면접을 진행했습니다.
2. 임원면접 |
진행절차: 임원면접은 '면접 전 설문'과 '심층 인터뷰'의 두 단계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면접 전 설문: 자신의 행동이나 가치관에 맞게 설문
심층 인터뷰: 3명의 면접관, 30분,
STAR 기법을 사용해 답변을 하라고 사전에 전달받았습니다.
자신을 가장 잘 어필할 수 있는 1분 자기소개도 준비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3. 직무역량평가(전공면접) |
학사 지원자는 전공관련 질문을 세개 받으면 그 중에서 선택해서 답변하는 것으로 들었습니다.
저는 석사 지원자라 지원 시 제출한 전공소개서를 발표하고 질문을 받았습니다.
삼성 석사 직무 면접의 경우 이력서와 같이 제출한 전공소개서를 기반으로 진행
지원자의 석사 과정 동안 진행했던 프로젝트 중심으로 질문하고 발표 진행
이때 전공 역량을 어필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에 최대한 자신 어필해야 함
A4 2장 정도의 분량으로 최대한 짧고 간략하게 준비하기
석사 직무 면접이라고는 하나 전공 공부 내용 외에 직무 관련 내용도 필히 준비할 것
대부분 지원자들에게 주된 질문은 프로젝트 관련이지만, 일부 직무 관련된 내용의 질문도 있음
프로젝트 관련한 질문이 쉽냐 어렵냐를 따지는 것은 상대적이긴 하지만 간혹 고난도의 질문을 하는 경우도 있음
=> 이때 지원자의 대처하는 태도나 행동을 보고 평가함
질문의 답이 충분치 못하다고 판단되면 자연스럽게 답변하는 방법도 연습해야 함
개인적으로 저는 자신만 아는 용어, 아이디어를 설명하기 보다는 연구한 내용이 삼성과 얼마나 관련있고 그래서 삼성에 들어왔을 때 어떻게 기여할 수 있는지를 잘 어필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4. 창의성 면접 |
진행절차: '문제 풀이'와 '인터뷰'의 두 단계로 나뉘어 진행됩니다.
20분 정도의 문제 풀이 시간에 사회적인 이슈에 관련된 질문과 키워드가 있으면 그 키워드를 사용해서 답변을 만듭니다.
삼성이 현재 어떤 일에 관심을 갖고 어떤 사업에 집중을 하고 있는지 생각해보면서 준비할 수 있습니다.
저 같은 경우에도 제가 준비한 부분과 거의 비슷하게 질문이 나와서 잘 답변을 했었습니다.
5. 면접 준비 과정 |
오전, 오후로 나눠져 있는데 저는 오후 1시에 면접을 진행했습니다.
필기 시험 결과 발표가 5월 10일이었고, 저는 면접일이 5월 20일이었습니다.
코딩테스트를 한 문제 풀었기 때문에 통과했다고 가정하였고 필기 시험을 보고난 4월 14일 이후부터 면접 준비를 시작했습니다.
면접 준비를 하면서 유튜버 면접왕 이형의 영상을 많이 참고했습니다.
위 영상을 참고해서 A4용지에 저의 20살때부터의 경험들을 STAR기법으로 정리를 다 해봤습니다.
그리고 면접 스터디를 찾아봤습니다.
삼성전자 단톡방에서 면접 스터디를 모집하는 글들이 많이 올라왔고 저는 면접 직전까지 다섯개의 면접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2개 온라인, 3개 오프라인)
면접 스터디를 하지 않는 남은 시간에는 혼자서 유튜브에서 '면접 시뮬레이션'을 찾아서 집에서 연습해보고, 카페에 가서 이어폰 꽂고 전화하는 척 연습을 해봤습니다.
그리고 유튜버 @컨설팅은나래 님의 쇼츠를 많이 봤습니다.
면접 스터디를 온라인으로 했을 때도 긴장이 많이 됐는데 오프라인으로 하면 또 다르게 긴장이 되었습니다.
면접 스터디를 진행할 수록 말을 더 잘하게 되어서 저는 면접 스터디 도움을 많이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다양하게 면접 스터디를 진행했습니다.
AI전공자끼리 하는 스터디, 다양한 사업부의 SW개발 직무 스터디, MX사업부 SW개발 직무 스터디, 석사끼리 전공면접 스터디 등을 진행했습니다.
다양한 스터디를 하며 보충하게 되는 다른 부분들이 많아서 좋았습니다.
다행히 스터디에서 좋은 사람들을 많이 만나서 솔직한 피드백을 많이 받았고 서로 도움을 많이 주고받았습니다.
스터디가 끝나고도 계속 인연을 이어간 사람도 있었습니다.
궁금한 점 있으시면 댓글 남겨주세요:)
인터뷰 - ai-techblog님
함께 보면 좋을 콘텐츠 |
||||||||||||||||
🎇 대기업 신입 합격자소서 모음.zip |
||||||||||||||||
└삼성전자 면접관, 현대자동차 인사담당자 등 원하는 멘토를 선택해 답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해당 게시글은 링커리어 회원님들이 남겨주신 소중한 후기입니다. 해당 게시글에 포함된 내용에 대한 악의적인 비방 및 비하, 욕설이 담긴 댓글을 남길 시 무통보 활동정지 및 탈퇴 처리됩니다.
본 사이트의 합격수기 및 자료들을 무단 복제, 배포하는 경우에는 저작권법 제 97조의 저작재산권침해죄에 해당하며, 저작권법에 의거 법적조치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작성자 링커리어
신고글 [삼성전자DX] 2024 상반기 SW개발 신입 면접 합격 후기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