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 오후 미팅 어레인지 해주시고, 아젠다 작성해주세요!
들었을 때 근데 못 알아들으면 다시 물어보기 진짜 뻘쭘해
스타트업 인턴으로 일했었는데 실제로도 많이 쓰는 용어들임! ㅎㅎ
회사에서 들었는데 모르겠다고 해도 꼭 서치해보고 정말 모르겠으면 질문드려야 됨!
✅ 팔로우업 (Follow Up) : 진행하다, 후속조치하다
✅ 리스트업(List Up) : 데이터를 리스트로 만들다
✅ 크로스체크(Cross Check) : 서로의 업무 내용을 확인하는 것
✅ 어레인지(Arrange) : 배치하다, 준비하다
✅ 디벨롭(Develop) : 휠리티로 재작업, 디테일을 다듬다
✅ OJT(On-the-Job-Training) :직무 수행과 병행하여 이루어지는 직장 내 교육 훈련
✅ 워크샵(Workshop) : 전사적 친목 도모를 위한 단합회. 교육 행사 등에 연수를 보내는 것 또는 모여서 공동의 주제에 대해 검토, 논의하는 것
✅ RFP(Request For Proposal): 자신들의 요구사항에 맞는 제안 요청을 보낼 때 사용되는 문서
✅ CS(Cusomer Satisfacion) : 고객만족, 고객서비스
✅ 아젠다(Agenda) : 업무 내용을 정리한 항목
✅ 케파(Capacity) : 능력
✅ 린하게(Lean) : 효율적으로, 군더더기없이
✅ 러프하게(Rough) : 구체적이지 않은, 대략적으로
✅ N/A(Not Applicable) : 해당없음
✅ OT(Over Time) : 초과근무
✅ 인폼(Inform) : 알리다, 공지하다
✅ 컨펌(Confirm) : 확인하다, 확정하다
✅ 레퍼런스(Reference) : 참고, 참조
✅ 피드백(Feedback) : 메일이나 문서, 혹은 회의 등 어떤 결과물이나 주제에 대해 검토한 뒤 관련된 의견을 전달하는 것
+ 마케터 준비하는 친구들은 이것도 꼭 알고 가!!!!!
1. CAC (Customer Acquisition Cost) 고객 유입당 비용 고객 1명 유치하는데 드는 마케팅 비용 비싸지면 수익성 박살나요
2. CPV (Cost Per View) 조회당 비용 영상 광고 1뷰에 드는 비용 영상 캠페인 효율 체크 필수 지표
3. LTV (Lifetime Value) 고객 생애 가치 1명의 고객이 평생 우리에게 가져다줄 총수익 이거 엄청 중요함! CAC보다 높아야 마케팅이 의미있음
4. ROI (Return on Investment) 내가 쓴돈 대비 얼마나 벌었는가 투자 수익률의 기본 중 기본!
5. CVR (Conversion Rate)
유입 대비 실제 전환된 비율
(전환률계산 : 전환/유입x100)
ex)클릭은 많은데 결제는 없을 때 이게 문제
6. 퍼널 (Funnel) =깔대기란 뜻
고객 여정 단계별 구조
어디서 이탈하는지 분석하려면 퍼널 필수
인지-관심-고려-전환 단계 처음부터 전환욕심 내면 안되고 인지, 관심부터 모아야 함
7. 얼라인 (Align) 다른 팀/부서와 전략 방향 맞추기 ”이거 공유됐나요?“ 할 때 이걸 말함
8. ROAS (Return on Ad Spend)
광고수익률 (계산:해당광고의 매출/광고비)x100
ROAS가 100%면 본전
200%면 2배 수익 난 거
9. A/B 테스팅 (A/B Testing) 두 가지 버전 실험해 뭐가 더 효과 좋은지 비교 디자인, 문구, 타겟 변경 등 다양하게 활용돼요
🍯근데 테스트할 때 한번에 조건 1개씩만 바꿔서 테스트하세요
변수가 많아지면 뭐가 효과가 난건지 모르기때문ㅜ
ex.문구 테스트 시 같은 이미지에 문구vs문구만 바꾸기 / 이미지 테스트 시에는 같은 문구에 이미지vs이미지
10. 알앤알 (R&R: Role & Responsibility) 누가 뭘 하는지 일 분담의 기준 실무자 필수 용어 중 하나
11. 리소스 (Resource)
업무에 투입 가능한 인력, 시간, 예산 등
리소스가 없다 = 일은 많은데 사람이 없음
12. ASAP (As Soon As Possible) 가능한 한 빨리 보이면 숨 막히는 단어
*출처 : @bong_dancegram (봉실장)
작성자 익명
신고글 신입/인턴은 꼭 외워야하는 업무용어 20가지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