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엔 최저시급 자체가 낮으니
3천만 줘도 좋다고 일하는 사람 많았음
근데 최저시급이 갑자기 1만원대에 가까워지면서
알바나 중소기업이나 급여 차이가 적어짐
그래서 취준생은 2가지 부류로 나뉘었음
- 중소기업 다니며 저 돈 벌 바에 책임 적은 알바 하지
- 알바 급여랑 비슷하게 받을 중소 갈바에야 몇 년이 걸려도 대겹, 중견 간다
이 연봉 상승은 기업에도 영향을 끼침
예전 초봉이 3500만원, 현재 초봉이 4500만원이라 해보자
기업 입장에서는 당연히 1000만원 만큼 더 의미있는 인재만 보게 됨
3500 신입을 뽑을 땐, 일 잘 몰라도 돈 적게주고 가르치면 되지 라는 마인드로 인성을 봤다면
4500 신입을 뽑을 땐, "어? 이 정도 돈이면 몇 년 전 경력직이랑 비슷한 돈인데? 그럼 직무 경험, 무경력자, 쌩신입 빼고~ 중고 신입, 경력만 남기자!"가 되어버림
왜냐? 3천주면서 교육하는건 감당할만해도
4천 주면서 교육에 시간 쓰는건 부담되거든
그리고 예전보다 경력>>>학벌인 원인이 여기서도 있음
Sky 서성한 라인들 예상보다 서탈률 높지?
너가 사장이라 생각하고 같은 돈을 주는데
지방대 출신 협력사 중고 신입은
안 가르쳐도 바로 업무 투입이 가능한데
Sky 출신 쌩신입은 1년은 배워야해
학습이 빠르면 뭐해;
가르쳐야 한다는 그 자체만으로 부담임
근데 가르쳐주면서 월급은 꼬박꼬박 줘야해
실제로 따져보면 돈은 돈대로 나가고
교육하느라 경력자들도 시간 써서 더 바빠져
가르치는건 개인의 노력만이 아닌 전체 팀원의
시간을 잘게잘게 쪼개서 가르쳐주는거임
근데 요즘엔 이직이 빨라서 대기업이어도 3~4년만에 나가
누구 뽑을래?
작성자 익명
신고글 취업난은 최저시급 상승이 한몫했다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