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ommunity.linkareer.com/mento_hyndai/4808121
생산 - 생산운영 및 공정기술 (AutoLand광명)
[프레스/차체/도장/조립]
- 설비/가동/품질 향상 및 개발차 관련 업무 등
[생산관리]
- 신차 개발 및 사양관리/완성차 지표 관리 등
[보전]
- 완성차 설비 유지 보수 관리 및 신설비 관련 업무 등
[품질관리]
- 완성차 및 부품 품질관리 업무 효율화/개선
위 직무에 지원하고자 합니다. 전기,전력 쪽으로만 활동과 스펙이 있어서 어떻게 직무역량을 어필해야 할 지 고민입니다.
현재까지로는 '보전' 직무가 가장 연결고리가 있는것 같은데요, 그 마저도 설비의 대상이 달라서 문제입니다.
자동차 업계에서의 생산 설비라 하면 로봇팔, 프레스기 등의 설비를 말하는 것일 텐데요, 저는 이쪽에 대해선 전혀 알고 있지 않습니다.
대신, 전력기기(차단기, 변압기, 보호계전기, 비상발전기, 수변전설비, 전동기 등) 설비를 잘 알고있습니다.
추가로 전기 이론과 전기 회로에 대해 알고 있는데요
괜히 전력기기에 대한 지식이 있다고 직무 역량을 어필했다가, 실무와 연관되지 않은 내용을 작성하는 것이 아닐까 걱정입니다.
'완성차 설비'에 대해서 알고 계신 현직자 분들에게 질문드리고 싶습니다.
완성차 설비에 사용되는 전력기기가 있을까요?
있다면 무엇일까요? / 없다면 전기공학도로서 직무역량을 어떻게 어필하면 좋을까요?
전력기기가 아니라 회로랑 전기이론쪽으로 접근해야하나요
신고하기
작성자 ihs0415
신고글 기아 자소서 질문
사유선택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