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3년차 서비스기획자입니다. 저는 업무를 하면서 아래와 같은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생각이 짧은 편
한 가지만 생각하고, 그 외의 파생되는 조건이나 예외 상황까지는 잘 못 떠올리는 편이라
팀장님이 다양한 시나리오를 고려해서 기획하시는 걸 보면 진짜 감탄하게 돼요. 그래도 화면설계서는 좀 잘쓰는 것 같아요! ㅎㅎ
-개발 지식 부족
그리고 개발 지식도 부족한데, 지금 회사 개발자분들이 워낙 친절하셔서 제가 물어보면 잘 설명해주시긴 해요.
그런데도 스스로는 답답함을 느껴요.
곧 3년차가 되는데, 다음 회사 가서 “이것도 몰라?” 소리 들을까봐 걱정도 되고요. 🥲
-회사 정책/어드민 기능 파악 부족
또 하나, 회사 정책과 어드민 기능을 잘 모른다는 점도 단점이라고 생각해요.
예를 들면,
“이 옵션은 선택으로 바꾸면 안 될까요?” 하고 여쭤봤다가
“이건 타사 상품이기 때문에 무조건 필수값이에요”
이런 식으로 정책을 몰라서 생기는 커뮤니케이션 오류가 가끔 있어요.
그래서 주위에 조언을 구해봤는데,
정처기는 도움이 안 된다, SQLP는 어드민 화면 기획할 때 꽤 유용하다는 분도 있었고,
반대로 기획자가 SQLP까지 굳이 필요하냐는 분도 계셨어요.
저는 SQLD는 이미 취득했고,
《비전공자를 위한 IT 지식》 같은 책도 읽어봤는데 확실히 도움이 되긴 하더라고요! 😄
요즘은 서브 프로젝트를 하면서 개발자와의 소통 연습도 병행 중입니다.
그런데 이제 SQLD도 땄고, 서브 프로젝트도 거의 마무리 단계고, 책도 봤고 하다 보니,
이 다음엔 뭘 해야 할까?”라는 고민이 생겨서 후보를 추려봤어요:
-정처기 도전
-SQLP 도전
-서브 프로젝트 하나 더 하기
-아티클과 도서를 통해 개발 공부하기
-팀장님 기획안 보면소 공부하기
위 후보중에 필요없는것 또는 제가 해야할게 있을까요?
제가 계획한건 다음과 같습니다
4월~6월 : 팀장님 기획안 보면서 공부
7월~9월 : 아티클과 도서를 통한 개발 공부 (정처기x)
9월~12월 : 서브 프로젝트
작성자 아자아아자아
신고글 서비스기획자 단점 보완을 위해 무엇을 해야할까요?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