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에 있는 대학교 국제통상학과 스트레이트 졸업 4.09 / 4.5
자격증은 1월 말에 취득한 토익 880점뿐
학력과 자격증에서 많이 아쉽지만, 그만큼 대내외로 경험과 경력을 다양하게 쌓아왔습니다.
교내
과대 3년
학과 학생회 총무국장
학과&대학본부 교수회 근로장학생
미국 빅데이터 기반 경영 시스템 실무자 양성 6개월 과정 (K-move school for USA Internship)
교외
2019 세계 공정무역의 날 자원봉사자
2019 한, 아프리카 마인드 개발 포럼 의전 자원봉사자
2020 CIA 어학원 필리핀 겨울 영어 캠프 6주 인솔교사 (15명 담당)
2022 미국 시카고 지사 한인 물류 회사 인턴십 1년
2023-2024 뉴질랜드 오클랜드 지점 한인 포워딩 회사 사원 1년
현재 나름 자신감 가지고, 차근차근 한국에서 정착해보기 위해 취업 준비 중에 있습니다.
올해부터 시작해 현재 토익만 취득해둔 상황이고 추가적으로 컴활, ERP 정보관리사 (물류) 취득 계획 중입니다.
이런 저런 정보도 찾아보고 물류 관련 기사, 세미나 등 또한 틈틈히 접해오고 있는데요.
자격증보단 경험/경력이 참 중요하다는 주의지만,
아무래도 자격증이 텅 비어있다는 점과
한국 취업 시장 특성상 서류에서부터 경쟁력을 갖춰야 하다보니
현재로선! 일단 부족한 자격증 취득을 우선으로 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세미나 등을 통해 여러 현직자 분들의 이야기를 많이 듣게 되면서, 조금 혼란스럽더라구요.
될 수 있으면 무조건 현장 경험과 경력을 쌓기를 추천한다는 말씀때문에요.
물론 백프로 동의하는 바입니다.
저 또한 외국에서의 경험이지만 한인 회사였기에 한국과 비슷한 환경에서 일을 해왔습니다.
그런데, 지금 이 상황에서 눈 감고 귀 닫고 계획한 대로 자격증 취득에 우선 순위를 둘 지
아니면 "계약직이든 뭐든" 물류 관련 직종으로 경력부터 쌓을지 ... 어렵네요
정답이 정해져 있는 듯 하면서(?) 외국에서 정말 고생하며 일하고 배운 만큼 한국에선 좀 더 규모가 있는 회사에서 일을 하고 싶다는 욕심 때문에 일반적인 (?) 정규직 외에는 생각한 적도 없었고 필요한 공부를 먼저 해보자! 하는 이 사이에서...
두서없는 그저 한풀이와 같은 글이지만,
현직자 혹은 경력자 분들께서는 이런 상황이라면 어떤 마음가짐으로 취준을 준비해나가실지 궁금합니다.
작성자 ju99****
신고글 경력은 있지만 한국에서의 첫 취준... 고민 아닌 고민있어요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