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HRD 직무를 희망하는 98년생입니다.
작년 6월에 전역하고 1년이 넘는 기간동안 인턴 2번과 컴활 자격증을 취득하는 등 아등바등 노력했지만 여전히 HRD 직무 취뽀가 안되네요,,, 체험형인턴은 몇번 붙어봤는데, 정규직 혹은 채용연계형 인턴은 한번도 서류를 붙어보지 못했습니다.
[스펙]
- 학교 및 전공 : 국숭세단 교육학 (부전공 : 에듀테크) 학점 : 3.74/4.5
- 어학점수 : 토익스피킹 IH / 자격증 : 컴활 1급, 한국사 2급, 한자 3급
- 일대기 및 경력)
- 2018.03 ~ 2022. 02 졸업
- 2022.03 ~ 2024. 06 육군 장교(ROTC) 전역
- 2024.08 ~ 2024.11 현대자동차 계열사 HRD인턴 3개월(연차별 세미나 & 조직문화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
- 2025.06 ~ 2025.07 SKT HRD인턴 2개월(그룹 전체 신입사원 교육 기획 및 운영)
- 2025. 07 ~포스코 HRD직무교육 진행중(8월 수료 예정)
기타스펙 : 교내 프로젝트 2회(수상X) / SKT T프렌즈 대외활동 2년 (마케팅쪽) / 교육 대외활동 (6개월) 기타 등
Q1) AI 및 데이터 관련 역량을 얻기 위해 6개월짜리 부트캠프를 (예시 - CJ올리트네트웍스 AX WAVE, LG전자 DX School 등) 듣는게 미래를 위한 길일까요?
: 기업에서 AI 및 데이터 관련 역량을 너무 중요시 여겨서 부트캠프를 듣는게 맞나 고민중입니다. 저는 HRD를 위한 AI역량을 가졌다를 보여주는 정도를 원하는데 부트캠프는 좀 과한건가 현실적인건가 고민입니다. 곧 하반기 시즌이고 나이도 먹어가고 이룬건 없고 심리적 압박감이 심하네요.
Q2) 인턴을 몇번 더 해야할까요? 아니면 하반기 취준에 집중해야할까요?
: 생각보다 인턴을 하면서 취업준비하는게 쉽지않더라고요(인턴때 야근도 잦았고 업무량이 좀 많았어서,,)
하반기 공채때 인턴이나 정규직 가리지않고 넣긴할건데, 인턴 경험이 더 필요할까요? 아니면 진짜 하반기에만 집중해야할까요,,,
Q3) 지금의 제 스펙에서 HRD 취뽀를 위해 가장 중요한 점은 무엇으로 보이나요? (학벌 / 자격증 / 대학원 등...)
: 스스로 생각하기에 대기업 HRD직무를 바로가기엔 무리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계속 도전은 하되 중견을 목표로 취준하려고합니다. 스스로 생각하기에 학벌이 약점이라고 생각되는데, 이건 대학원 말고 답이 안나와서 대학원을 가야하나 싶기도하고,,, 자격증도 어떤게 더 필요한지 모르겠고,,, 어떤 점을 보완해야 하반기에 조금이라도 승산이 있을까요?
그리고 아직 중소취업까지는 생각 안하고 있지만, 만약 필요하다면 강소? 기업에서 일하며 이직 생각해야할까요?
현실적이고 냉철한 피드백 부탁드리겠습니다.
이상 제 푸념 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모두 좋은 하루 되세요
작성자 문과는취업할수있는가
신고글 HRD 직무 취업 가능 현실적으로 가능한가요?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