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PT로 기획서를 쓰라는데, 어떻게 구성해야 하지?”
사실 논리를 펼치려면 시중 템플릿을 사용하기보다는 직접 템플릿을 만드는 게 더 깔끔합니다. 시중 템플릿을 사용해본 적은 없어서 저작권 문제가 있는지는 정확히 모르지만 괜히 찜찜하기도 하고, 공모전이다보니 직접 만든 템플릿이 “나의 기획서”라는 느낌이 드니까요.
또한, 각자가 펼치고자 하는 논리의 흐름, 즉 기획서의 스토리라인이 저마다 다를 수 있고, 내용을 잘 설명하기 위해서는 때로는 틀을 벗어나야 할 때도 있어 대부분 공모전에 참여하는 사람들은 PPT를 직접 구성하곤 합니다. 그렇다면 대체 어떻게 구성해야 할까요? 참고 사이트와 함께 제가 PPT 기획서를 구성하는 방식을 소개하고자 합니다.
1. Key Color 뽑기
기획서를 구성하기 전, 색깔을 가장 먼저 고민하게 됩니다. 이 때, 기본적으로 기획서 내에서 너무 다양한 색을 사용하기보다는 기본색, 강조색을 포함하여 3가지 정도로 쓰는 게 적절합니다. 너무 많으면 오히려 강조해야 할 게 잘 강조되지 않고, 산만하기 때문이죠.
이러한 기본색 및 강조색을 무슨 색으로 할지 고민이 된다면 나가고자 하는 공모전의 Key Color를 뽑으면 편합니다. 공모전 홍보 포스터나 주최측의 로고를 캡쳐해서 PPT에 붙여넣고, 스포이드로 색을 추출해서 그 색으로 공모전 기획안을 구성하면 딱 그 공모전만을 위한 기획서 느낌도 나고, 통일감도 있어보이고 좋더라구요. 따로 해당 공모전의 key color를 제시해주는 곳도 있습니다.
딱히 Key color가 없다 싶으면 아래 사이트를 추천합니다.
https://www.colourlovers.com/photocopa
이 사이트는 색깔 팔레트를 만들어주는 사이트인데요. 이미지의 주소를 복사해서 붙여넣으면 그 안에 있는 색깔을 쫙 뽑아주기 때문에, 이 팔레트를 캡쳐해서 PPT에 붙여넣고, 스포이드로 원하는 색을 추출하면 더 세련된 색을 뽑을 수 있습니다. 어떤 기본색에 어떤 색이 강조색으로 어울릴지, 이런 색깔 조합 고민도 덜어주기 때문에 유용한 사이트입니다. 예를 들어 링커리어 공모전에 나갈 예정이라면, 파란색 예쁜 사진을 하나 주소 복사 붙여넣기 하면 됩니다.
저는 주로 https://www.pinterest.co.kr/를 사용하는데요. 여기에 감각적이고 조화로운 색감이 많아서 좋습니다. 위는 blue를 검색해서 나온 사진으로 이미지 주소 복사 후, 붙여넣기 하여 나온 결과입니다.
2. 플로우 구성하기
표지-목차-상황분석-문제도출-해결방안-전략방안-(APPENDIX)-감사합니다 장표가 기본 구조이며, 당연히 얼마든지 변형 가능합니다.
저는 엑셀에 장표 번호, 메인 메시지, 세부내용1,2, 출처를 항목으로 하는 표를 그려 논리 플로우를 완성하는 편입니다. 물론 PPT를 만드는 과정에서 살짝씩 바뀔수도 있지만 함께 틀을 잡고나면 PPT를 만드는데 시간도 적게 들이고, 논리를 더 쉽게 검토할 수 있습니다. 여러 명이 함께 플로우를 구성할 때에는 Google Docs도 유용합니다. 아래는 제가 친구와 함께 나갔던 공모전 플로우인데, 물론 장표를 만드는 과정에서 변형이 조금 있었지만 대략적인 틀을 잡기에 유용했습니다.
3. 장표구성
이 장표는 공모전 장표는 아니고, 전공 수업때 산학협력을 하면서 만들었던 PPT 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구성요소를 분석해보겠습니다.
장표구성 역시 얼마든지 변형 가능하지만 기본 틀만 알려드리려 합니다. (2)같은 경우에는 없어도 되고 있어도 되지만 다른 부분은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필수 요소를 바탕으로 슬라이드 마스터를 이용하면 작업시간을 더 줄일 수 있습니다.
+간지장표
제 친구들끼리 간지장표라고 부르는 게 있는데, 핵심적인 인사이트를 제시하기 직전에 강조를 위하여 전장표에 검정색 투명도 15-30% 정도의 박스를 덮는 방식입니다. 적절히 활용하면 이름 그대로 ‘간지’가 있는 장표입니다.
비록 기본적인 것만 알려드리지만, 아직 장표 작성이 서투르신 분이라면 이 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작성자 멘토장유진
신고글 PPT 기획안 구성 TIP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