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 22기 문애진입니다.
이번 콘텐츠에서는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 경진대회 공모전 수상자 인터뷰 내용을
카드뉴스 형식으로 정리해보았습니다!
공공데이터를 활용해 창업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사회적 가치를 만들어낸 수상자는
어떤 프로젝트를 준비했는지, 그리고 준비 과정에서 가장 고민한 부분은 무엇이었는지
궁금했던 분들께 이 콘텐츠가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Q1. 안녕하세요! 자기소개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이성현입니다.
지역사회의 문제를 직접 발굴하고 해결책을 모색하는 데 관심이 많으며,
실질적인 변화를 이끄는 창업 활동에 열정을 쏟고있습니다.
Q2.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 경진대회 소개 부탁드려요!
이 대회는 공공데이터를 바탕으로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창의적이고
실현 가능한 창업 아이디어를 발굴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Q3. 참여하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요?
저는 '인액터스' 창업 동아리에서 지역 착한가격업소의 운영난과
소비자 인식 부족 문제 해결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
공공데이터를 활용하여 쌓은 경험을 살려, 이번 대회에서 아이디어를 구체화하고
창업 가능성을 점검하고자 했습니다.
Q4. 공모전 준비 기간 알려주세요!
기존 사업계획서를 공모전 요구에 맞춰 재정비하고, 공공데이터 활용 부분을 보강했습니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1~2일간 집중해 핵심을 다듬고 완성도를 높였습니다.
Q5. 준비하시면서 어려웠던 점이 있나요?
준비하면서 가장 고민이 많았던 부분은
'공공데이터를 얼마나, 어떻게 활용할까'였습니다.
아이디어에 꼭 필요한 데이터를 얼마나 설득력 있게 녹여내느냐가 관건이었고,
그 균형을 맞추는 데 가장 많은 시간을 들였습니다.
Q6. 수상작 소개 부탁드려요!
저희 팀은 착한가격업소의 매출 증대와 인지도 향상을 위해,
이들 가게의 도시락을 구독 형태로 제공하는 플랫폼 ‘선선한끼’를 제안했습니다.
지역 소비자와 착한가격업소를 연결함으로써 물가 안정과 소상공인 지원이라는
두 가지 사회문제를 동시에 해결하고자 했습니다.
Q7. 준비 과정 중 가장 신경 쓴 부분은 무엇인가요?
공공데이터가 단순한 참고자료를 넘어서, 사업 아이디어의 핵심 근거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계하는 데 집중했습니다.
특히 사용한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누구나 한눈에 이해할 수 있도록 구성했고,
정책 수요와 시장 타당성을 동시에 보여주는 데 주력했습니다.
Q8. 나만의 수상 팁이 있다면?
공공데이터는 양보다 ‘맥락’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무작정 많이 사용하는 것보다,
우리 아이디어와 정확히 맞닿아 있는 데이터를 찾아내고,
그것을 어떻게 활용했는지를 논리적으로 설명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공공데이터를 창업아이디어에 자연스럽게 녹여낸 것이 좋은 결과로 이어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 경진대회>에서 값진 성과를 거둔 이성현님의 생생한 인터뷰를 전해드렸습니다.
귀한 시간 내어 경험을 공유해주신 성현님께 진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 카드뉴스가 창업과 공공데이터 분야에 관심 있는 많은 분들께 도움이 되길 바라며,
더 다양한 공모전과 정보는 대학생/취업 플랫폼 링커리어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 22기 문애진이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작성자 찌니23
신고글 [2024 공공데이터 활용 창업 경진대회] 공모전 수상자 인터뷰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