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 23기 박지효입니다.
요즘 영상 공모전에 관심 있는 분들 정말 많죠??
그 중 숏폼 공모전에서는 어떤 점이 중요한지 2023 서울영상공모전 ‘대상’ 수상자 인터뷰를 통해 알아봅시다!!
Q2. 이번에 수상하신 공모전, 어떤 공모전인지 소개해 주실 수 있나요?
Q3. 본 공모전에 참여하게 된 계기가 있었나요?
당시 저는 새내기였기 때문에 팀 프로젝트를 하더라도 주로 조연출이나 기타 부수적인 작업만 맡곤 했습니다.
그러다 2023년이 끝나기 전에 제 이야기와 연출로 직접 영상을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어,
동기 친구 한 명과 함께 참여할 공모전을 찾기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발견한 것이 ‘서울을 잡았치!’ 공모전이었고, 서울을 주제로 한 이야기를 재미있게 풀어낼 수 있을 것 같아 도전하게 되었습니다.
Q4. 수상작에 대해 간단히 소개해주세요!
저희가 만든 <영숙이에게>는 2023년 서울로 타임슬립한 8090 용철의 독백을 중심으로 전개됩니다.
용철은 과거의 연인 ‘영숙이’가 그립지만, 변화한 서울의 명소들과 청년문화패스 같은 매력적인 요소들을 경험하며
지금의 서울에 빠져들게 됩니다.
결국 영상의 후반부에서는 2023 서울에 남게 되었다며 여자친구 영숙이에게 미안하다는 말을 전합니다.
수상작 > https://youtube.com/shorts/ehSEAqY88z0?si=pk7rk178ZtfgnvB6
Q5. 준비 기간과 과정이 궁금해요 얼마나 준비하셨나요?
공모전 도전을 결심한 시점이 접수 마감까지 3주도 채 남지 않은 때였기 때문에, 곧바로 아이디어 회의를 시작했습니다.
먼저 각자 준비해온 러프한 아이디어를 공유한 뒤, 그 중에서 가장 괜찮은 아이템을 골라 함께 시나리오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화상회의를 통해 한두시간만에 시나리오를 완성하고 그 다음날 바로 배우 모집 공고 업로드 및 촬영장소, 소품, 의상 등을 준비를 시작했어요. 촬영은 하루 만에 마무리했고, 이후 3일 동안 편집을 거쳐 출품하게 되었습니다.
Q6. 영상 아이디어는 어떻게 떠올리셨고, 발전시킬 때 어떤 점을 고민하셨나요?
공모전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주최측이 전하고자하는 메시지라고 생각했습니다.
따라서 서울시의 정책을 먼저 충분히 숙지한 다음, 그 중 영상으로 재미있게 풀어나갈 수 있을만한 키워드를 찾아갔습니다.
아이디어를 발전시킬 때 가장 고민한 부분은 주인공 ’용철‘의 대사였습니다.
영상이 용철이의 대사로 전개되기 때문에 8090 특유의 느낌을 살려주는 말투와 표현,
그리고 속도와 분량까지 모두 고려하며 대사에 공을 많이 들였던 것 같습니다.
Q7. 공모전을 준비하면서 가장 신경 쓴 부분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시청자들이 1분 안에 저희가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빠르게 이해할 수 있도록 신경 썼습니다.
스토리 특성상 과거와 현재가 자주 교차되고, 짧은 시간 안에 다양한 장소와 상황을 보여주다 보니 컷 전환이 빠른 편인데요.
그 속에서도 시청자들이 혼란 없이 내용을 따라갈 수 있도록 최대한 간결하게 구성하려고 특히 노력했습니다.
더 자세하게 말하자면, 과거의 경우 용철이 뿔테 안경을 쓰고 있고 편집과정에서 높은 색온도로 색보정을 했습니다.
현재의 경우 낮은 색온도 그리고 맨눈인 것을 통해 차이점을 확실히 두었답니다!
Q8. 마지막으로, 많은 영상 공모전에 도전하실 분들께 전하고 싶은 한마디 부탁드립니다!
저도 늘 좋은 결과를 얻었던 것은 아니지만 주눅들지 않고 계속해서 도전해 왔기에 수상을 할 수 있었다고 생각합니다.
좋은 작품 하나를 남긴다는 마음으로 즐겁게 도전하다보면 자연스럽게 좋은 결과도 따라올것이라 믿습니다!
저도 수상작을 보고 참신한 아이디어로 현대의 서울을 잘 표현했다고 생각했는데요
숏폼 공모전에서는 아무래도 계속 보고싶은 마음이 들게 하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인터뷰에 답해주신 지원님께 다시한번 감사의 인사를 전하면서 콘텐츠를 마무리 하겠습니다!
저는 또 다른 꿀팁 콘텐츠에서 뵈어요~~😊
작성자 yglw
신고글 [2023 서울영상공모전] 새내기 때 영상 공모전에서 대상탈 수 있었던 이유! + 수상작 공유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