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링키들!
링커리어 콘텐츠에디터 9기 갬입니다. 😉
대학 생활 좀 알차게 해보셨다는 분들 하면
“공모전” 준비를 빼놓을 수가 없는데요!
공모전은 상을 타고 안타고의 입상 여부와 관계없이,
참여했다는 것만으로도 정말 좋은 경험이 되는 것 같아요:)
그런데 공모전 준비를 함에 있어서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답니다!
바로, “높은 표절률”인데요!
실제로 많은 공모전 - 특히 학술 관련 - 에서
에세이들이 표절검사에서 높은 표절률로 인해
탈락되는 경우들이 많다고 합니다 ㅠㅠ 😥
그렇기에 자신이 직접 작성하지 않은,
다른 논문이나 기사 등의 자료를 인용할 때에는
반드시 참고문헌 및 출처 표기를 하셔야 하는데요!
오늘은 올바른 참고문헌&출처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도록 하겠습니다 😊
꼭 공모전 준비 때문이 아니더라도
우리가 살면서 “참고문헌”을 작성해야 할 일이 많은데요!
교수님들 중에서 레포트 과제를 내시면서
“참고문헌 제외 n장 분량”과 같은 공지를 내주실 때도 있을 거예요:)
참고문헌을 쓰다보면 귀찮아서 한 두개 정도는 빼먹어도 되겠지, 싶지만
반드시! 우리 모두가 알고있는 자명한 사실이 아니고서는
참고자료 모두 표기해주셔야 한답니다! 😊
참고문헌을 작성함에 있어 가장 기본적인 내용들을
한 번 살펴보고 넘어가볼까요? 😙
책의 저자 순서는 언어의 자모순으로 배열하는 것이 원칙인데요!
만약 동일인물일 경우에는 출판물이 오래된 것부터 “연대순”으로!
뿐만 아니라 단일저작과 공저작이 함께 존재할 경우에는 “단일저작”부터!
배열해야 한다는 점 잊지 말아주세요!
또하 참고문헌 작성 시에는 우리나라! 한국어가 가장 먼저 오는 것이 원칙이랍니다:)
(문헌은 당연히 1차 문헌부터 순서대로 배열해야 한다는 점도 체크! ✨)
참고문헌 작성 시에 주의해야 할 점이 하나 더 있는데요!
바로 각 문헌 별로 참고 문헌 표기 방법이 다르다는 것입니다 😅
아~ 저는 참고문헌 작성할 때 이 부분이 가장 힘들더라구요 ㅠㅠ
논문은 논문대로, 인터넷 자료는 인터넷 자료대로, 책은 책대로!
작성해야 하는 방법이 모두 달라서 처음엔 “왜이리 복잡할까” 싶은데요!
사실 위의 규칙들만 잘 알고 있다면 금방 작성할 수 있답니다:)
제가 카드뉴스 안에 적어놓은 세 가지 종류의 문헌 외에도
사전이나 신문기사 등 다양한 것들이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이렇게 참고문헌 표기법에 대해 알아보고 있으면,
문득 “어디까지 출처를 표기해야 하나?” 싶은 분들이 계실 것 같아요:)
정답은 직접인용과 간접인용 모두! 입니다 😊
원물 그 자체를 그대로 옮겨 쓰는 것 말고
‘~에 따르면’, ‘~에 의거하면’과 같이 나만의 스타일로
저자의 것을 인용해 쓰는 간접인용 역시!
반드시 출처를 남기셔야 한다는 점 꼭 기억해주세요!
참고문헌 표기도 했고~ 출처도 제대로 남긴 것 같은데~
불안한 마음이 들어 공모전에 준비한 작품을 내지 못하고 망설일 때!
“카피킬러” 홈페이지 활용을 추천드려요 😎
저같은 경우 대학 과제 제출 전 종종 습관처럼 활용하고는 하는데요!
레포트, 에세이 등의 파일을 업로드하고 잠시 기다리면
표절률 검사 결과를 짠!하고 보여준답니다:)
오늘은 이렇게 공모전 준비시
꼭 알아야 할 참고문헌&출처 표기법을 살펴봤는데요!
이 글을 읽은 링키 여러분, 이제 더이상 “높은 표절률” 멈춰~ 🙂
더 많은 정보를 얻고 싶다면, 링커리어 홈페이지를 참고해주세요!
그럼 이만 오늘의 글을 마칩니다!
작성자 갬
신고글 "높은 표절률" 멈춰! 공모전 준비시 꼭 알아야 할 참고문헌&출처 표기법!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