① 참가동기
저는 현재 에너지자원공학과와 경제학과를 복수전공 하고 있습니다. 두 분야 모두에 관심이 있었기 때문에 두 분야 모두 아우를 수 있는 공모전을 찾던 중 해외자원개발진흥재단에서 주최하는 ‘제1회 해외자원개발 콘텐츠 공모전’을 알게 되었습니다. 우리나라의 현 에너지 자원 상황과 경제 상황을 모두 알아야만 할 수 있는 공모전이었기 때문에 저한테 적합하다는 판단을 내리고 공모전에 참가하였습니다.
② 준비과정
이 에세이를 쓰기 위해서 우리나라의 현 에너지자원 상황과 경제 상황 그리고 일본의 현 에너지 자원상황과 경제 상황을 확실히 알아둬야했기 때문에 여러 정부기관과 공기업 그리고 신문 기사들을 보면서 정보를 얻었습니다. 산업통상자원부 및 여러 신문 기사에서 우리나라의 현 에너지자원 상황 및 해외자원개발 현황 등의 정보를 얻었고, 글로벌에너지협력센터와 한국에너지경제연구원 등에서 일본의 현 에너지자원 상황과 해외자원개발 현황 등의 정보를 얻었습니다. 이와 같이 얻은 정보를 토대로 에세이를 썼습니다. 에세이의 분량이 A4 5장으로 한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글을 쓰기 전부터 서론, 본론, 결론의 내용을 정하였습니다. 서론에는 해외자원개발의 중요성 및 우리나라의 현 에너지자원 상황을 나타내었습니다. 본론에는 우리나라와 에너지자원 상황이 비슷한 일본의 해외자원개발 사례를 나타내었고 우리나라와 어떠한 점이 다른지 기술하였습니다. 마지막으로 결론에는 일본의 사례를 통해서 우리나라 해외자원개발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을 나타내고, 다시 한 번 해외자원개발의 중요성을 기술하였습니다.
③ 참가실적
‘제1회 해외자원개발 콘텐츠 공모전’에서 참가하여 에세이 부문에서 최우수상(2위)을 수상하였습니다.
④ 수상전략
이 공모전은 국민들에게 해외자원(석유, 가스 및 광물 자원) 개발의 중요성을 알리는데 그 목적이 있었습니다. 현재 우리나라는 에너지의 97%를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세계 4위의 에너지 수입국이고 그 중 석유와 가스의 수입의존도는 100%입니다. 그래서 더더욱 해외자원 개발은 우리나라의 국가 경영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그러나 올해 국회의 자원개발 국정조사 그리고 내년 정부의 자원개발 예산 삭감 등에 의해서 해외자원개발에 대한 국민들의 신뢰도는 바닥을 치고 있습니다. 여기서 우리나라의 해외자원개발 사업에 대한 문제점을 파악하고, 우리나라와 에너지자원 상황이 비슷한 일본의 해외자원개발 사업 정책 및 현 상황 등을 우리나라와 비교하여 앞으로 우리가 어떤 식으로 사업을 진행해야 되는지를 에세이에 자세히 기술한 것이 수상을 할 수 있었던 전략이었던 것 같습니다.
자료출처: 스펙업애드
작성자 oidc_1
신고글 [해외자원개발진흥재단] 제1회 해외자원개발 콘텐츠 공모전 (최우수상) 수상전략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