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 목차 |
1. 2025 SK하이닉스 채용 일정 |
2. 인재상 |
3. 면접 질문 리스트 |
4. 면접 예상 질문 |
5. SK하이닉스 면접 후기 |
6. 현직자 멘토 Q&A |
7. 함께 보면 좋을 콘텐츠 |
1. 2025 SK하이닉스 채용일정 |
|
1) 지원서 접수 | 2025년 3월 17일(금) ~ 2025년 3월 28일(금) 17시 |
2) SKCT | 2025년 4월 26일(토) |
3) 면접 | 5월 중 |
4) 건강검진 | 2025년 6월 예상 |
5) 최종합격 및 입사 | 2025년 7월 ~ 2025년 8월 중 |
2. 인재상 |
SK하이닉스 인재상은 패기 (P.A.C.E) 인재입니다.
이는 "Passion(열정), Agility(민첩성), Creativity(창의성), Execution(실행력)"의 약자로, SK하이닉스가 원하는 인재의 핵심 역량을 나타냅니다. 아래 요소들은 SK하이닉스의 기업 문화 및 비전과도 연결되어 있으며, 특히 반도체 산업이 기술과 시장 변화에 민감하기 때문에 민첩성과 창의성을 강조하는 점이 특징입니다. |
3. SK하이닉스 면접 질문 리스트 |
1. 회사 내 다양한 직무 중, 해당 직무에 지원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지? |
2. 해당 직무와 관련된 기초/전문 역량을 갖추기 위해 어떤 노력을 했는지? |
3. 존경하는 멘토가 있는지? |
4. 입사 후에 목표가 무엇인지? |
5. 원하는 부서에 배치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할 것인지? |
6. 박사과정 진학 계획이 있는지? |
7. 본인의 부족한 점이 무엇이고, 어떻게 극복하려고 했는지? |
8. 마지막으로 물어볼 것이 있는지? |
9. 나이가 많은데 괜찮은지? |
10. 엘지디 좋은회사인데 왜 옮기는지? |
11. 주변사람들의 나에 대한 평가는? |
12. 최근에 가장 힘들었던 일? |
13. 다른 팀들과 어떻게 협업하는지? |
14. 어떤 인생을 살았는지? |
15. 휴학 2년동안 뭐했는지? |
16. 본인 인생에서 가장 잘 한 결정은? |
17. 관심 가는 공정은? (직무) |
18. MFC가 뭔지 아는지? (직무) |
19. 진공장비 종류 서술 (직무) |
20. 하이닉스 관련해서 관심있게 본 뉴스 있는지? |
21. 스트레스 해소법 |
4. SK하이닉스 면접 예상질문 |
1) 하이닉스가 뭐하는 회사인지 |
2) 생산하는 제품 파악, 기업 분석 Swot 및 경쟁사 파악 |
3) 반도체에 대한 간단한 이해 |
4) 직무 경험 및 자소서 정리, 이력서 및 자소서 기반 질문은 100% 들어오므로 예상질문 뽑아보기 |
5) 직무 관련된 질문 (+전공) => 직무 요강 확인 및 현직자 인터뷰 영상을 통해 어떤 업무를 하는지, 필요한 역량은 무엇인지 파악하기 |
6) 경쟁사 산업 동향 및 트렌드 파악 => 기업 뉴스 통해 하이닉스 사업 이슈 및 경쟁사 뉴스 파악하기 |
7) 개인의 특별한 경험이 있다면 어떤 경험이었는지 설명해달라고 할 가능성이 높음 |
☑ 문과직무라면 ? => 직종에 관계없이 ‘비슷한 업무를 다양한 산업군에서 할 수 있는데 왜 하이닉스인가, 왜 반도체 회사인가’에 대한 질문은 100% 나옴 => 이 질문에 대한 답변 상당히 준비 잘 해가야함 관련하여 기술적 동향, 제품 이름을 알아가야 함 |
👉게시글 원문 및 대기업 현직자 답변 더 보기 (클릭) |
5. SK하이닉스 면접 후기 |
1. [SK하이닉스] 2024 하반기 신입 합격 후기
면접은 용인에 위치한 SK아카데미에서 이뤄졌고 총 몇 일 간 진행되었는지 모르겠으나, 직무별로 다른 날짜에, 오전/오후로 나뉘어졌다.
이동 방법으로는 잠실 종합운동장역에서 이동하는 셔틀버스가 있었는데 오전 면접자는 오전 7시 / 오후 면접자는 오전 11시30분까지 버스에 탑승했다. 석/박사 지원자의 경우 10분 분량의 발표자료를 PDF로 준비하여 미리 채용팀으로 송부해야 한다.
직무면접과 문화면접(인성면접)이 같은 날 이루어졌는데 두 면접 모두 1:2로 진행되었고 면접관은 달랐다. 전부 친절하셔서 온화한 분위기 속에 모든 면접이 진행되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유일하게 대면 면접이라 그랬는지 몰라도 지금까지 면접을 봤던 타 기업들 대비 부드러운 분위기라 느껴졌다.
1- 직무 면접에서는 발표 이후 어떤 반도체에 대해 연구했는지, 얻은 성과 등에 대해 가볍게 얘기하는 시간을 가졌고 반도체에 대한 기본 지식에 대한 질문은 하나도 없었다. 2- 오히려 문화 면접이 더 어려웠다고 느꼈는데 질문이 많았을 뿐더러 답변하기 애매한 질문들도 주셔서 면접 끝나고 잘 대답한 건지 의아했다. |
2. [SK하이닉스] 2024 하반기 신입 (청주) 합격 후기
하이닉스는 원데이 면접으로 진행되는거 아시죠? 인성//직무 총 2개로 나뉘고 2:1 입니다 저는 면접관2명이셨어요 (2:1) 각각 30분정도가 기준이긴한데 저는 다 쬐금 초과했었던 것 같네용 면접 보기 전에 가이드를 메일로 보내주시는데 예시 질문들이 있어요 그건 그냥 나온다. 라는 생각으로 준비해가세요 물론 면접관바이면접관 이지만 직무관련해서는 뭐가나올지 모르니 꼭 해야겠죠? 양산기술을 예로 들면 8대공정에 대해서 이론/과정->주요 발생 문제->원인과 해결법 등 다 외워가야해요 본인 자소서에 쓴 것도 다 알아야겠죠? 저 같은 경우에는 진짜 자소서에서 질문을 많이 주셨어요~ 자격증에서도 질문 나왔고요! 오잉? 싶은 질문도 하셨었요 진짜 예측 불가능ㅜㅜ 원래 하이닉스 인성면접은 완전 5959 우쭈쭈 분위기래요 경험해본 결과? 팩트다!! 이래서 칭찬탈이 존재하구나..ㅜㅜ 생각했었어요 정말 본인 관련해서 수다 떨고 온다는 느낌으로 편안~하게 보시면 될 것 같아요 직무 역량에 포커싱하지말고 그냥 회사에서 일할 사람!! 성격적인 부분을 보시는 것 같아요 new CoC 6가지랑 skms 진짜 중요한듯여~ 교육 받을 때도 진짜 여러번 들은..허허 그런 관련된 경험, 본인 역할, 느낀점, 갈등상황은 정리해두면 좋을 것 같습니다 면까몰에 격공합니다!! 그나마 제가 붙은 가장 큰 이유가 뭘까?! 짐작해보면 답변을 외워서 대답하기보다는 정말 면접관님들 눈 쳐다보고 방긋방긋 웃으며(진짜...아이돌 팬싸중인데 내가 아이돌이다!!! 세뇌🤗) 저를 어필하면서 최대한 다 대답하려고 했고 정말 생각이 필요한 답변은 정적으로...두고 머릿속으로 정리하고 답변했어요.. (제스쳐는 면접에서 진짜 하지말자 다짐했는데 원래 리액션이 큰 편이라 습관이 나와버렸.. 이건 비추... 대놓고 정적으로 뒀는데 잠시만 생각하고 답변드리겠습니다. 라고 먼저 말했다면 더 좋았을듯....) 원래 제 기수는 피드백이 필수가 아니었는데요~ 저는 피드백을 직무면접에서만 받았는데 그 중 가장 기억에 남는게 "저희랑 편하게 진짜 대화하듯이 면접 보는 것 같아서 그 점이 좋았다"고 해주셨어요 사실은 심장박동 max였지만.. 😊 📍 준비과정 저 혼자 지피티랑 예상질문, 면접후기, 복기자료, 기본질문 다 포함해서 쪼잔한 것 까지 200개 이상 엑셀로 정리하면서 면접 준비했어요... 진짜 혼자서 열심히 하긴한듯...🤔 쪼잔한건 절대 안해도 됐을듯.. 면접스터디가 도움이 된다던데 사바사일듯 일단,. 전 구하기 귀찮았고ㅋ 상대방 좋은 답변을 제가 카피해버릴까봐..면스 1개도 안하고 맨땅에헤딩🙂🙃 그래도 열심히 하면 된다!!=>나 산증인!!
|
3. [SK하이닉스] 2024 하반기 신입 PE직무 합격 후기
하이닉스 면접은 직무/문화 면접을 One-day 면접으로 진행한다. 메일로 면접날짜가 안내되고 면접 안내문이 pdf 파일로 날라온다. 오픈 카톡방 보니 이 면접안내문을 모르고 지나치시는 분들이 있는데, 안내문에 중요한 내용이 많으니 꼭! 꼼꼼하게 확인을 해야한다.
직무 면접은 당연히 직무에 대한 이해가 제일 중요하다. 하이닉스는 아래 블로그와 하이닉스 공식 유튜브 등 직무에 대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경로가 많다. 솔직히 유튜브에서 다른 채용 관계자들이 직무에 관한 설명해주는 것들은 정확성이 떨어지는 것 같다. 하이닉스에서 공식적으로 알려준 정보 또는 어떻게든 현직자를 수소문해서 물어보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 📍 반도체 기사 스크랩 면접 때 언제든 나올 수 있는 질문이 반도체 시장 동향과 관련된 질문이다. 또, 기사 내용을 많이 접하면 직무면접 답변을 구상할 때도 도움되기 때문에 준비기간에만이라도 기사 스크랩 하는것을 추천! 네이버로도 반도체 기사를 접할 수 있지만, 중요도가 높은 기사들만 접하고 싶어서 여러 사이트를 이용했다.
1. SPTA 반도체교육 | 반도체공정기술교육원 | SPTA
반도체 공정실습으로 잘 알려진 SPTA 사이트에서 스크롤을 아래로 쭉 내리면 반도체 산업소식이라는 아이콘이 보인다. 들어가면 민병곤 선생님이 매주 반도체 소식을 PPT로 깔끔하게 정리한 파일들이 업로드되어있다. 2. 디일렉 (Thelec)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thelec.kr)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 모듈 전자 게임 전문 디일렉 사이트 상단의 반도체를 클릭하면 반도체 관련 주요 뉴스들을 접할 수 있다. 3.SEMI 블로그
SEMI Korea 공식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글로벌 전자 산업 공급망을 대표하는 산업 협회인 SEMI의 공식 블로그입니다. SEMI 블로그에서 거의 매일 반도체 업계 뉴스를 업로드한다. 이웃으로 추가해놓고 블로그 들어와서 심심할 때마다 봤다.
📍 인성면접 준비 인성면접은 인터넷에서 찾을 수 있는 모든 기출 질문을 엑셀에 정리해놓고 답변을 작성해놓았다. 보니타 칭구가 준 질문에 이것저것 더 덧붙여 하다보니 정리해놓은 질문이 거의 60개정도였다.
그리고 인성면접은 경험정리가 중요하다. 그냥 답변하는 것은 누구나 할 수 있기 때문에, 나의 경험을 함께 어필해야 답변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다. 경험 정리도 마찬가지로 엑셀을 이용했다.
시간 순으로 적어놓고 경험을 통해 어필할 수 있는 역량과 여러가지 컨셉으로 스크립트를 작성해놨다. 예를 들어, 하나의 팀플 경험을 가지고 협력강조 스크립트1, 갈등해결 스크립트2 이렇게 작성하고 불안한 마음에 이로부터 나올 수 있는 꼬리질문들도 추가로 작성했다. 사람마다 방법은 다 다르지만, 말을 논리정연하게 잘 하지 못하는 사람은 스크립트를 적어두고 흐름과 키워드 정도 기억해놓고 질문에 대답이 술술 나올 수 있게 연습하는 것을 추천한다.
면접이 2,3일 남았을 때 혹시나 하는 마음에 이것도 공부해야할 것같고 저것도 물어보면 어쩌지.. 하고 정말 불안했다. 불안이 그 자체였다.... 하지만, 면접 때는 정말 내가 준비한 것의 10% 정도만 물어보기 때문에 정말 필수적으로 나올 것같은 개념, 자소서에 나온 개념들 위주로 핵심적인 것만 자신있게 말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 좋다. 스스로 말하는 것을 많이 연습해야 면접장가서도 긴장이 덜된당
|
4. [SK하이닉스] 2023 하반기 신입 양산기술 P&T 합격 후기
📍 스펙 -학교 : 서성한 -학점 : 3.8 -재학중 활동 : 반도체 공정실습, 멘토링 -기타스펙 : 토스
📍 면접 후기 면접의 경우 SK 인재교육원에서 대면으로 인성과 직무 통합하여 진행하는 것으로 바뀌었습니다. 기존 직무 / 임원으로 나누어 시행하던 면접을 종합면접으로 30분 내로 끝나게 됩니다. 면접의 경우 인성, 직무 등등 고르게 물어보기 때문에 다양한 방면으로 폭 넓게 준비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자신이 작성한 자소서와 이력서를 분석하고, 최대한 스터디를 많이 하면서 모의 면접을 통해 피드백을 받고 객관적으로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는 실제로 면접 스터디를 3개 정도 돌리면서 2주동안 모의면접만 10번 이상 진행하였습니다. 또한, 하이닉스에서 미리 사전 질문을 주기 때문에 이에 대해 준비를 미리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면접 후기 1. 자소서와 이력서를 열심히 분석에서 질문을 많이 만들어 보아라 2. 스터디를 많이 해서 객관적으로 자기 자신을 돌아보자 3. 자신감을 잃지 말자 입니다 |
5. [SK하이닉스] 2023 상반기 석사 산학장학생 합격 후기
📍 스펙 학교: 경북대학교 졸업 / KAIST 석사 졸업 예정 학점: 4.2/4.5 (학부) 어학: Toeic 880 자격증: x 경험: 인턴 1회 3개월, 학부연구생 1년 (해외학외 논문 1저자 투고 & 발표)
📍 기억에 남는 면접 질문 5개 1) 회사 내 다양한 직무 중, 해당 직무에 지원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2) 해당 직무와 관련된 기초/전문 역량을 갖추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는가? 3) 존경하는 멘토가 있는가? 4) 입사 후에 목표가 무엇인가? 5) 원하는 부서에 배치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6) 박사과정 진학 계획이 있는가? (산학장학생이여서 물어본 질문입니다.)7) 본인의 부족한 점이 뭐고 어떻게 극복하려고 했는가? 8) 마지막으로 물어볼거 있나? |
6. [SK하이닉스] 2023 상반기 석사 산학장학생 합격 후기
📍 면접 준비 개인적으로 면접은 자기소개서의 연장선이라고 생각해서, 자기소개서를 면접을 염두해 두고 썼습니다. 글을 읽었을 때 면접에서 질문할 만한 여지를 남겨두는 느낌이랄까요? 항상 통하는건 아니지만 그런 느낌으로 썼습니다. 그리고 1분 자기소개, 직무 지원동기, 장단점 등 필수 질문들은 정말 연극이라고 생각하고 잘 정돈된 문장들을 달달 외워서 툭 치면 나올 정도로 준비를 했었구요. 예상질문들도 이런 것 까지 준비해야 되나? 싶은 것보다 더 많이 준비하셔서 실제 면접에서 하시고 싶은 말을 다 하고 나올 수 있습니다. 저는 아래 표 처럼 대학 때 했던 경험들을 먼저 정리해두고, 그 표의 keyword를 토대대로 예상 질문에 대한 답변을 작성했었습니다.
📍 면접 후기 면접은 Webex로 진행되었고, 회의실에 들어가니 긴 책상에 면접관 네 분이 서류를 펼쳐놓고 앉아계셨습니다. 면접은 인성면접 느낌으로 진행되었습니다. 지원자를 탈락시키는 목적의 면접이라기보다는 서류 내용 검증과 어떤 연구를 해보고 싶은지, 연구에 대한 진정성을 알아보는 면접이라는 느낌을 받았습니다. 그래서 SK하이닉스에 정말 관심이 있는지 어필하는게 중요한 것 같습니다. 저의 경우에는 마지막 하고 싶은 말있냐는 질문을 받았고 최근 SK하이닉스 RTC 그룹에서 발표한 GDDR6-AiM에 대한 질문을 드렸습니다. 실제로 개발한 product의 이름을 언급하면서 질문을 드려서 나름 어필이 된 것 같습니단.
📍 면접 질문 1) 회사 내 다양한 직무 중, 해당 직무에 지원하게 된 이유는 무엇인가? 2) 해당 직무와 관련된 기초/전문 역량을 갖추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였는가? 3) 존경하는 멘토가 있는가? 4) 입사 후에 목표가 무엇인가? 5) 원하는 부서에 배치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할 것인가? 6) 박사과정 진학 계획이 있는가? (산학장학생이여서 물어본 질문입니다.) 7) 본인의 부족한 점이 뭐고 어떻게 극복하려고 했는가? 8) 마지막으로 물어볼거 있나? |
6. 현직자 면접 관련 조언 모음 |
📍 자소서에 적힌 내용을 바탕으로 어필하고 싶은 내용을 살을 좀 붙혀 어필하기 📍 자소서 내용을 검증하기 위해 질문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솔직하게 답변하기 📍 자소서와 이력서를 열심히 분석에서 질문을 많이 만들어 보자 📍 스터디를 많이 해서 객관적으로 자기 자신을 돌아보자 📍 전공과 직무에 대해 확실하게 공부해두고, 예상질문과 답변을 만들 때 꼬리질문까지 예상하여 준비하기 📍 SK하이닉스 기업 분석 필수로 하기(복지, 인재상, 경영이념, 최근 인수한 기업, 투자, 성장세 등) 📍 본인의 약점 관련 질문, 벤치 마킹하는 이유, 하이닉스의 기업 문화&지원자의 기여도, 남들이 생각하는 본인의 성격, 프로젝트 관련 질문, 학점에 대한 태클 질문은 꼭 준비하기 📍 경쟁사(삼성전자 등) 분석 하기 📍 경쟁사 대비 SK하이닉스의 강점 조사하기 📍 경쟁사와의 차별점을 물어볼 경우 무조건 사례를 들며 비교하기 (구체적인 데이터를 활용하거나, 자신의 경험과 연결지어 답변하는 것을 추천) 📍 면접 스터디 및 모의 면접 꼭 하기 📍 지원 직무와 관련된 전공 지식, 반도체에 대한 기본 소자 및 공정 등에 대해 학습해두기 📍 틈 날 때마다 머리와 입으로 면접 시뮬레이션 하기 📍 자소서 및 직무 분석 깊게 하기 📍 전공 관련된 질문에 잘 대비하기 📍 내 경험에 대해 더 깊이 반추하며 글 쓰고 이론적인 측면 공부하기 📍 당황한 티 내지않고 능구렁이처럼 대답하기 📍 엑셀 활용하여 면접 질문 리스트 짜기 📍 면접 전날엔 필수 개념, 자소서 개념 위주로 연습하기 📍 1분 자기소개, 직무 지원동기, 장단점 등은 완벽하게 암기하기 📍 키워드 위주로 암기하고 연결시키기 📍 자신있게 말하는 것이 가장 중요 |
작성자 링커리어
신고글 2025 SK하이닉스 면접 합격 후기 모음 (feat. 질문리스트, 채용 일정 등)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