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링키 여러분!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 14기 임정서입니다.
요즘은 스타트업도 정말 많이 가시는 것 같아요!
그래서~!오늘은 MZ가 선택해야 될 스타트업 기준을 가져와봤는데요.
(저희 아무곳이나 지원하면 안되니까요ㅎㅎ)
먼저 목차부터 확인해보고 갈까요?
[목차]
1. 당연히 “사람”이 중요하다.
2. 투자시기와 개발자 수 -> 성장지표?
3. 스타트업 그리고 복지, 아이러니한 두 관계
4. 스타트업 면접에서 반드시 확인해야할것
Intro. MZ는 왜 스타트업을 선택하고, 기피하는가?
[빠른 성장가능성]
취업 플랫폼에 의하면,지난해 기준 재직자 근무 만족도 상위 100개중
무려 19개의 벤처, 스타트업이 이름을 올렸는데요!
이 중 1063명을 설문조사한 결과 ‘높은 성장 가능성’이 입사의 가장 큰 이유라고 합니다.
자신의 색과 의견이 반영될 확률이 높은 곳에서, 전공 외에도 다양한 업무를 하며
이른바, 본인의 “직무역량”을 쌓고싶어 하는 것이죠.
그만큼
하지만, 그만큼 회사가 망할 수도 있고 워라밸이 보장되지 않는 것을 뜻하기도 하니
스타트업도 절대 아무곳!을 지원할 수는 없겠죠?
좀 더 구체화된 5가지 기준으로 아래 계속해서 알아보아요 :)
Chapter1. 당연히 “사람”이 중요하다.
스타트업에서 CEO의 마인드가 중요하다는 말을 많이 들어보셨을텐데요!
[목표는 이기는 팀을 만든다]
우선, 스타트업은 소수로만 구성된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한명 한명이 주는 영향이 크고 창업가의 이념과 성향, 지향하는 이상점을 보아야합니다.
이상이라는 단어는 안전과는 거리가 멀지만
스타트업은 가능성을 보고 시작한 사업이기 때문에
대표가 가고싶은 구체적인 목표가 없이 붐하는 시장에 뛰어들었다면
흔들리는 회사가 될 가능성이 큽니다!
요즘은 스타트업 창업가와 직접 인터뷰를 한 자료들이 점점 늘고 있어서
이를 참고해보시거나, 없다면 면접에서 직접 확인해보실 수도 있는데요~
직접 언급하지 않으시더라도 회사의 대표님이 팀을 소개하는 모습에서도 엿볼 수 있습니다!
(추가적으로 면접에서 해야할 질문은 아래를 참고해 주세요:) )
Chapter2. 투자시기과 개발자 수 -> 안전에 직결되는가?
[시리즈 A, 투자받은지 얼마나 됐는가?]
벤처,스타트업을 판단할 때 어떤 기업의 투자를 얼마 받았는지도
스타트업을 선택할 때 중요한 기준이 됩니다.
하지만 투자가 보통 3년 단위로 계약이 마무리 되기 때문에
지원하려는 스타트업이 언제 투자를 받았는지 확인해보고
3년 이상의 근방의 시간이 흘렀는지, 또 투자를 받은지 얼마 안된 기업이라면
향후 3년간의 계획이 어떻게 되는지 홈페이지에서 확인해보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개발자 수는 왜 중요할까?]
또한 스타트업 창업가의 우선순위는 ‘사업이 굴러가게 만드는 것’이기에
투자를 받기 이전 시리즈 A 단계에서는 당장의 투자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래서 인사관리가 체계화 되지 않은 경우가 많지만, 4-5년 사이의 폭발적인 성장을 위해
개발자 채용에 많은 비용을 사용합니다.
Chap3. 스타트업 그리고 복지, 아이러니한 두 관계
[대기업과 다른 스타트업 보상 설계]
“스톡옵션과 지분”
기존 중소기업과 결정적으로 다른 부분이 스톡옵션입니다.
투자를 받는 등 기업 가치가 상승하면 목돈을 만질 수 있는 제도인데요.
스톡옵션을 모두가 받기는 어렵지만,
스타트업 지원 이유 중에 스톡옵션이 크게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
[비대면 근무 방식]
스타트업 특성상 워라밸이라는 단어와는 잘 어울리지 않고,
제가 세 곳의 스타트업을 실제로 본 바에 의하면 야근도 잦은 편인데요!
대신 비대면 근무 방식, 9-11 자율출근을 시행하는 곳도 많았습니다.
Chap4. 스타트업 면접에서 반드시 확인해야 할 것
[면접에 누가 나왔는가]
스타트업 면접은 기업이 지원자를 평가하는 단계이지만
지원자 또한 지원한 곳에 대해서 확인해보는 단계이기도 합니다.
규모가 작기 때문에 스타트업에서는 한명 한명의 영향이 매우 큰데요!
그렇기 때문에 면접에 CEO, CFO가 나오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꼭 CEO가 아니더라도 대표 경영진이 면접에 나오는가에 대한 부분도
입사를 결정할 때 중요하게 고려하셔야할 부분입니다.
[향후 3년간의 계획 알아보기]
또한 면접을 보실 때 투자를 막 받은 신생기업이라면
향후 3년간의 계획이 어떻게 되는지 물어보는 것과
면접자의 말 속에서 같은 분야의 사수가 있는 상태인지
확인하는 것도 중요한 요소라고 합니다.
이렇게 MZ가 스타트업을 고르고, 또 배제하는 기준들을 알아보았는데요~!
스타트업을 희망하셨던 분들은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 :0
이상, 링커리어 콘텐츠 에디터 14기 임정서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작성자 다람칩
신고글 [스타트업] MZ가 픽한 스타트업 선택기준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