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자소서 기반 면접 질문 준비 필수 면접 질문은 대부분 자소서 기반으로 출제 자소서에서 쓴 경험(팀장·갈등·인사이트 탐색 등)은 반드시 질문으로 이어짐
3) 토론면접 포인트 (경청 중심) 토론면접은 대화·정리·융화능력를 주로 평가함 찬반 대결 아니므로, 경청 · 의견 정리 · 부드러운 협업이 핵심 신입 관점에서 회의에서 주도권을 잡기보다 흐름을 정리하고 팀원 의견 연결하는 것이 중요
4) 기업이 진짜 원하는 핵심 메시지 '귀사에 필요한 인재입니다'를 증명하는 것이 중요함 기업은 성장배경·자기자랑에 관심이 없으므로 아래 3가지를 주로 준비해가야 함 - 경험에서 무엇을 배웠는가? - 그 배움이 직무 수행에 어떤 강점을 주는가? - 잘난 사람보다 핏이 맞는 사람을 선호
연봉, 복지, 근무시간 등 근무조건 질문 X ‘조사 안 해온 티’ 나는 질문 X (Ex. 회사 사업을 물어봄) 너무 무겁거나 전략적인 질문 X (인턴에 맞지 않음)
[실제 현직자의 마지막 질문 추천 TOP 6]
① “이 직무를 처음 맡는 신입/인턴에게 가장 중요한 태도나 역량은 무엇일까요?” ② “이 부서의 업무 프로세스(하루/한 주의 흐름)는 어떻게 진행되는지 궁금합니다.” ③ “인턴이 합류하면 가장 먼저 배우게 될 핵심 업무는 어떤 부분인가요?” ④ “팀 내에서 업무를 잘하는 분들의 공통적인 특징이 있다면 무엇인가요?” ⑤ “현재 이 직무나 팀에서 가장 집중하고 있는 과제나 방향성이 있다면 알려주실 수 있을까요?” ⑥ “인턴 기간 동안 제가 가장 중요하게 준비해야 할 점이 있을까요?”
지원 동기는 무엇인가요? 이 직무를 위해 어떤 준비를 해왔나요? 본인이 했던 프로젝트/경험 중 가장 의미 있었던 것은? 최근에 겪은 어려움과 해결 과정은 ? 협업 과정에서 갈등이 있었던 경험은? 본인의 강점/약점은 무엇인가요? 입사하면 어떤 방식으로 기여할 수 있을까요? 우리 회사 혹은 우리 사업에 대해 아는 점이 있나요?
[효과적인 답변 구조] ① 결론 한 문장 ② 내가 맡은 역할 ③ 구체적 행동(숫자·사례 포함) ④ 결과(객관적 지표) ⑤ 배운 점 → 직무와 연결
→ 직무 관심도와 준비 과정의 주도성 확인하며, 스스로 공부·경험을 쌓아본 흔적이 있는지 체크 팀 내에서 문제 없이 지낼 수 있는지
→ 태도·표정·소통 방식도 함께 평가
b. 채용연계형 인턴 위 요소들에 더해, 정규직 신입으로 바로 적응 가능한 직무 역량을 중점으로 평가 단순 관심이 아니라, 직무를 실제로 수행할 수 있는 수준의 기초 실무 능력·논리력·문제해결력을 봄
2) 면접관이 실제로 확인하는 세 가지 ① Why 인턴? 단순 경험이 아니라, 직무에 대한 진짜 관심과 필요성을 말할 수 있는가 ② How 준비했나? 관련 경험, 공부, 프로젝트 등 스스로 움직인 흔적이 있는가 ③ Can you fit in? 팀문화에 잘 적응할 성격·태도·커뮤니케이션 능력이 있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