링커리어

전체글

BEST 현직자 Q&A 모음.zip

하반기 공채 직무별 현직자가 강조한 스펙.zip (필수 자격증, 직무 역량, 경험 등)

상세페이지-메뉴
https://community.linkareer.com/mentor_data/4861573

 

 

(1) 마케팅 직무 Q&A

 

마케팅 or 인사팀 등 문과 직무 적절한 자격증 개수 

[마케팅 직무 자격증 관련]
마케팅 직무 공채에서는 자격증보다 실무 경험 중심으로 평가  
마케팅 분야는 인턴·현장실습 경험이 가장 큰 메리트  
데이터 분석 기반 의사결정이 중요하므로, 관련 자격증은 보조적 강점으로 활용 가능  
✅대표 자격증: GA, SQLD, ADsP  
→ 단순 취득보다는 실제 캠페인 분석·성과 도출 경험과 연결해 어필하는 것이 효과적  

 

[인사(HR) 직무 자격증 관련] 
실무와 직접 연관된 자격증 소수만 의미 있음  
다양한 자질부레한 자격증보다는 노무사가 가장 메리트 있는 자격증  
다만 인턴·현장경험(채용, 평가, 노무관리 보조 등)이 더 중요한 평가 기준  
자격증은 HR 직무 전문성의 보완재로 어필  

 

[경험·스토리텔링의 중요성]    
자격증 보다는 그 경험에서 어떤 역할을 맡았고, 어떤 성과·인사이트를 얻었는지가 핵심  
지원 직무(예: 뷰티마케터)와 연결해 전문성을 강조할 수 있는 포인트로 변환해야 함  

-> 여기서 자격증은 보완재 역할로 강조하기 

👉현직자 답변 및 게시글 원문 확인 (Click!) 

 

 

마케팅 직무 하반기 공채 지원 관련 고민 

1) 지원 기업 관련 JD 정리 필요 

남은 기간 동안은 새로운 스펙 쌓기보다 경험 정리 + 직무 JD 분석이 핵심  
지원 기업 리스트를 추려 각 JD별로 필요한 역량과 경험을 매칭해두는 작업이 중요  

 

2) 데이터 분석 역량 보완  
현재 채용 시장은 데이터 기반 퍼포먼스 역량을 중시  
→ 성과 수치화 + 데이터 해석 능력을 강조해야 경쟁력 확보 가능  
→ 여유가 된다면 SQLD, GA 같은 데이터 분석 관련 자격증이 실무에서도 도움  

 

3) 포지셔닝 전략  
경험을 단순 나열하지 말고, 데이터 역량 강화·성과 중심 사고로 한 단계 성장했다는 스토리라인을 강조  
→ 퍼포먼스 캠페인 운영, 성과 지표 개선, 고객 여정 분석 같은 키워드를 활용하면 효과적  

👉현직자 답변 및 게시글 원문 확인 (Click!) 

 

 

금융권 데이터/마케팅 직무 필수 역량  

1) 데이터 분석 역량 강화  

마케팅·금융권 모두 데이터 기반 역량 중요  
→ GA, SQLD 같은 분석 자격증은 짧은 기간 내 취득 가능하고 실무 활용도 높음  
→ 퍼포먼스 마케팅 대비: 광고 세팅·집행 경험 필수 → 미리 실습 경험 확보 필요  

 

2) 실무 경험 확보  
자격증보다 중요한 건 직무 관련 실무 경험  
→ 인턴, 현장실습, 아르바이트라도 직무 fit 경험이면 충분히 경쟁력↑  
→ 경험마다 “무슨 업무 → 어떤 성과 → 어떤 인사이트”를 정리해두면 서류 작성 시간 단축  

 

3) 산업군 선택과 포지셔닝  
금융권·은행 디지털 직무 = 데이터·IT 이해도 중시  
마케팅 직무 = 데이터 기반 퍼포먼스·그로스 마케팅 경험 중시  
→ 멘티의 관심사 + 미래 성장 전망 고려해 1~2개 산업군에 집중 지원  
→ 단, 지원 여부는 반드시 JD 확인 후 결정  

👉현직자 답변 및 게시글 원문 확인 (Click!) 

 

 

(2) 인사 직무 Q&A

 

 

대기업 인사팀 희망 시 강조해야할 것들 

 

1) 노무사 = 최우선 전략  

HR 직무 자격증 중 가장 메리트 있는 건 노무사  
노무사 2차 합격이 가장 확실한 카드  
다른 HRM 관련 자격증은 실무에서 금방 배우기 때문에 상대적 가치 ↓  

2) 인턴·실무 경험 확보  
HR 직무는 자격증만큼 중요한 게 실무 경험  
인사팀 인턴, 현장실습, 중소기업 현장 인턴 등 직무 fit 경험을 확보하는 게 핵심  
활동 선택 시 “자기소개서에 바로 활용할 수 있는 경험인가?”를 기준으로 선별

 

3) 자격증 보완 전략  
-ERP: 인사보다는 회계·생산 쪽에 더 활용도 높음  
-재경관리사: 필수는 아니지만 기초 재무 이해도를 보여줄 수 있음  
-컴활: 범용성 높고 가산점 효과 있음 → 취득 권장  
-오픽/토익: 어학 경쟁력 확보용으로 병행 가능  

→ 단, 자격증만 늘리기보다 실무 경험과 병행해 균형 잡는 게 중요

 

👉현직자 답변 및 게시글 원문 확인 (Click!) 

 

 

(3) 재무/회계 직무 Q&A

 

사기업 재무/회계 필수 스펙 

1) 자격증 난이도와 성격 구분  

신용분석사 vs 재경관리사는 결이 다른 자격증
- 신용분석사: 은행·여신·리스크 관리 쪽에 적합  
- 재경관리사: 사기업 재무·회계 직무 기본 자격증 역할  
→ 둘 다 필수는 아니지만, 지원 산업군·직무에 따라 우선순위가 달라짐

 

2) 재무·회계 직무 현실  
대기업 재무·회계 직무: CPA 1차 합격생이나 재경관리사 보유자가 대부분  
→ 사실상 재경관리사 미보유자는 드문 편  
은행은 TO가 2~3자리, 대기업은 한 자릿수 채용이 많음 → 경쟁 치열  
→ 따라서 자격증 유무가 최소 서류컷에서 차이를 만들 수 있음

 

3) 자격증 전략  
무조건 자격증이 정답은 아님  
→ “나만의 무기(특화 경험·성과)”가 있으면 재경관리사 없어도 서류 합격 가능  
→ 다만 일반적인 경우, 재경관리사 취득이 서류 안정성을 높이는 카드  

 

4) 지원 전략  
현재 포커스: 은행 지원 위주로 두되, 사기업 재무회계 직무도 병행 지원  
→ 은행 = 신용분석사 메리트 O  
→ 사기업 = 재경관리사/CPA 보유 여부가 변별력  

👉현직자 답변 및 게시글 원문 확인 (Click!) 

 

재무 & 금융 쪽 준비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자격증 전략  
금융권 커트라인 학벌(중경외시 등) 지원 시, CFA/AICPA는 사실상 필수  
→ IB·자산운용·사모펀드: CFA 필수, CPA 병행 시 경쟁력 ↑  
→ 재무팀: 재경관리사 기본, CPA까지 있으면 강점 확실  
→ 이중 노선 준비 시, 미국 CPA가 두 직무 모두에 인정돼 활용성 높음  

 

2) 인턴·경험 전략  
인턴은 최소 3회 이상 경험이 일반적 추세  
→ 인턴 합격은 상대적으로 쉬우나 정규직 전환이 어려움 → 엣지가 필요  
→ 학기 중보다는 off-cycle 인턴 (학기 휴학 후 지원)이 합격 확률 ↑  
이력서는 “추구하는 방향”이 보여야 함  
→ 자산운용 지원 시 유통관리사 같은 무관 자격증·활동은 제외  
→ 재무팀 지원 시 투운사 등 금융투자 자격증은 과감히 빼는 편이 낫다  

 

3) 지식·면접 대비  
금융권 면접: 산업 질문·금융 지식 질문 필수  
→ 교환 프로그램·인턴 준비 전, 주식 공부 or 특정 산업(반도체, 제약, 석유화학 등) 집중 탐구 필요  
자산운용사 면접 = stock pitch 거의 필수 → 개인 투자 경험·산업 분석 준비  

 

4) 자소서·면접 태도  
금융권 자소서는 핵심 요소 아님  
→ “날 왜 뽑아야 하는가”만 명확히 설명되면 충분  
→ 다양한 경험을 무작정 나열하지 말고, 지원 직무와 맞닿은 스토리라인만 유지  

👉현직자 답변 및 게시글 원문 확인 (Click!) 

 

 

 

 

(1) 공정/생산기술 직무 Q&A

 

화학공학과 공정, 생산기술 지원 고민 

1) 학벌·학점 관리  

생산/공정 기술 직무는 이공계 전공자 비중이 높음  
학벌보다 학점(상위권)이 중요하게 평가됨  
→ 최소 3.5 이상이면 안정적, 4.0대 이상이면 경쟁력 충분  
→ 학점은 성실성·기초 학문 역량을 증명하는 지표로 활용됨  

 

2) 어학 점수  
생산·공정 직무는 글로벌 협업·보고 업무가 있어 기본 어학 역량 필요
→ 보통 토익 700~800점 / 오픽 IM2이상이면 커트라인 통과 가능  
→ 해외법인·글로벌 프로젝트 지원을 고려한다면 850점 이상 확보 추천  

 

3) 자격증  
직무와 직접 연결되는 기사 자격증은 가산점 효과 큼  
화공기사, 위험물산업기사, 전기기사, 품질경영기사 등  
기본 안전 관련 자격증은 현장/공정 직무에서 특히 유효  
데이터 분석 자격증(ADsP, SQLD)은 스마트팩토리·AI 공정 최적화 등 최신 트렌드와 연결 가능  

 

4) 프로젝트·대외활동 경험  
공정 설계·최적화 프로젝트 경험은 큰 장점  
→ Aspen Plus, MATLAB, Python 등 툴 사용 경험은 실무와 직접 연결  
프로젝트 작성 시: 문제 정의 → 설계·분석 과정 → 최적화 성과 → 협업 요소 순으로 정리  
단순 실험 참여보다 성과와 배운 점을 강조해야 설득력 ↑  

 

5) 인턴 경험  
인턴은 “스펙”보다 직무 fit 경험 여부가 중요  
→ 국가연구기관, 제조기업 공정 부서, 품질 관리 부서 인턴 모두 활용 가능  
실습 내용이 작더라도, 협업·문제 해결·데이터 기반 개선 경험을 강조할 것
“AI·탄소중립·스마트팩토리”와 연결할 수 있으면 추가 경쟁력 확보  

👉현직자 답변 및 게시글 원문 확인 (Click!) 

 

 

대기업 생산기술 / 제어 직무 취업 TIP 

1) 전공보다 중요한 건 프로젝트 경험  

기업은 “전공명”보다 실제 문제 해결 경험을 더 중시  
→ 단순히 수업으로 이론을 배운 것보다, 직접 공정을 설계·제어하거나 자동화 시스템을 구현한 경험이 더 설득력 있음  
→ 포인트: 문제 정의 → 해결 과정(툴·기술 활용) → 결과물 → 성과/배운 점  

 

2) 직무 적합성: 생산기술·SW제어  
생산기술/SW제어 직무에서 요구되는 역량  
- 로봇 제어 및 자동화 경험  
- 공정 최적화 및 데이터 기반 개선 경험  
- 협업 및 현장 적용 역량  
→ “전공과 경험이 직무에 어떻게 연결되는지”만 명확히 풀어내면 합격 가능성 충분  

 

3) 포트폴리오 준비  
 프로젝트 경험이 많다면, 한눈에 볼 수 있는 포트폴리오 제작 필수  

[포트폴리오 제작 TIP]
→ PPT/포스터 형식으로 프로젝트 개요·역할·성과를 정리  
→ 면접 시 “경험 근거 자료”로 활용 가능 → 신뢰도 + 전문성 상승  
→ 온라인 포트폴리오(노션·PDF) 형태도 추천  

 

4) 학력·학위 관련 고민  
학사만으로도 도전 충분 (실제 현업에는 학사 출신도 많음)  
→ 대학원 진학은 “부족한 기술 역량을 메우고 싶을 때” 선택지일 뿐, 필수는 아님  
단, SW제어 직무는 TO가 적고 팀 규모가 작음 → 경쟁률 높음  
→ 따라서 중고신입 전략(중소/스타트업에서 경험 후 대기업 도전)도 유효  

👉현직자 답변 및 게시글 원문 확인 (Click!) 

 

 

(2) 품질 직무 Q&A

 

품질관리 직무 스펙 조언 부탁드립니다 

1) 인턴 경험  

품질 직무 인턴은 기회 자체가 적기 때문에 못했다고 해서 불리하지 않음  
대부분 지원자도 인턴 없이 졸업 → 실험·프로젝트 경험으로 대체 가능  
→ 중요한 건 “품질 관련 상황에서 문제를 어떻게 정의·측정·분석했는가”를 보여주는 것  

 

2) 어학 역량  
어학은 커트라인만 맞추면 됨  
떨어지는 이유는 영어가 아니라, 직무 관련 경험/역량 부족일 가능성이 큼  
→ 따라서 토익 등 어학보다 직무 관련 스펙·경험을 우선 보완하는 것이 효과적  

 

3) 자격증 전략  
품질경영기사(품경기): 기본 역량을 보여줄 수 있지만, 자격증만으로 “품질 문제 해결 역량”을 증명하긴 어려움  
→ 실제 기계·공정 관련 경험과 함께 어필해야 효과적  
보완 자격증: SQLD, ADsP → 데이터 분석·통계적 방법 활용 능력을 증명 가능  
→ 실제 현업 품질 관리에서 데이터 기반 분석은 필수이기 때문에 중요함 

 

4) 경험 어필 방식  
단순히 “교육 이수”보다, 실제 경험에서 배운 점을 강조  
→ 실험·프로젝트에서 측정 → 분석 → 개선 활동 과정을 구체적으로 제시  
Ex) “OO 실험에서 발생한 불량률 문제를 미니탭을 활용해 분석, X% 개선”  
자소서·면접에서 “도메인(제품/공정) 이해도 + 문제 해결 경험”을 연결해 어필  

👉현직자 답변 및 게시글 원문 확인 (Click!) 

 

 

(3) 데이터 직무 Q&A

 

데이터 분석 직무에 유리한 자격증 

1) 전공과 자격증  
전공이 산공과라면 이미 통계·데이터 분석 기초 역량을 학습한 것이 강점  
→ 이를 기반으로 직무 적합성을 어필하기 좋음  
[데이터 직무 자격증 활용 전략 추천]  
- 빅데이터 분석기사(빅분기): 데이터 분석 직무 지원 시 메리트 큼  
- 정보처리기사(정처기): 필수는 아니지만 보유 시 기본 IT 지식 어필 가능  
→ 전공자가 아니면 두 자격증이 직무 이해도 증명에 특히 효과적  

 

2) 대외활동·공모전·프로젝트  
대외활동이 없어도 충분히 경쟁 가능  
→ 대신 공모전, 캡스톤디자인, 학부 연구 프로젝트 경험을 적극 활용  
→ 경험이 있다면 수상 여부 + 본인 역할 + 결과(성과 수치화)로 정리  

 

3) 기술스택  
언어·툴은 깊게 1~2개만 잡고 확실히 가져가는 게 중요  
- Python: 데이터 분석·머신러닝·시각화  
- R: 통계 분석 강점  
- SQL: 실무 데이터 처리 필수  
→ 이 세 가지 중 최소 하나는 “나의 기술 스택”으로 어필할 수 있어야 함  

 

4) 코딩테스트 준비  
최근 데이터·IT 기반 직무는 코테를 요구하는 경우가 많음  
→ Python 코딩테스트, SQL 문제 풀이를 꾸준히 연습  
→ 직무 지원 시 “분석 역량 + 코딩 역량”을 동시에 증명 가능 

👉현직자 답변 및 게시글 원문 확인 (Click!) 

 

 

 

 

함께 보면 좋은 공채 관련 콘텐츠
🔥2025 하반기 삼성 전형별 합격자료 풀 패키지
[면접 마지막 질문으로 임팩트 주는 법] 추천 질문 예시 모음!
대기업 순위 2025|연봉·선호도·재계 순위 TOP 10 완벽 정리
🚨2025 하반기 대기업 공채 합격가이드북 모음.zip
자기소개서 작성법 4단계|양식, 핵심키워드, 잘 쓰는 5가지 TIP

 

 

 

추천을 눌러 베스트로 올려주세요!닫기 아이콘
신고하기
close-icon

작성자 링커리어

신고글 하반기 공채 직무별 현직자가 강조한 스펙.zip (필수 자격증, 직무 역량, 경험 등)

사유선택
  • check-icon
    욕설/비하 발언
  • check-icon
    음란성
  • check-icon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check-icon
    개인정보 노출
  • check-icon
    특정인 비방
  • check-icon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 3
APP 설치하고
스크랩한 공고의
마감 알림을 받아보세요!
app-banner-image플레이스토어-배너앱스토어-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