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community.linkareer.com/mentor_data/4212177
'인턴 때 뭐했어요?' 질문에 대한 답변 팁 |
1) 가장 먼저 해당 회사에서 맡은 직무 및 본인이 한 일 간략하게 설명하기 2) 그리고 여기서 했던 주요 활동 1-2개를 이야기 한 후 성과 및 어떻게 여기 현업에서 적용할 건지를 순서대로 이야기 하는게 가장 베스트임 3) 본인이 느꼈던 점과 미흡해 보완하면 좋을점까지 덧붙여 주기 [답변 예시] 제가 이번에 한 프로젝트 2개의 키워드는 '문제 해결' 입니다. 이유는 ~~ 이며, 이런 부분을 귀사에도 적용해 ~~를 하고 싶습니다. |
👉게시글 원문 및 대기업 현직자 답변 보기 (Click!) |
면접 답변은 무조건 짧게+두괄식으로? |
1) 질문 1개에 대한 답변은 가급적 3-40초 이내로 하는게 가장 좋음 2) 답변의 기본 구조는 역량 -> 이유 -> 이와 관련된 나의 경험 플로우로 답변 3) 다대다 면접인 경우는 나에게 주어진 시간이 적으므로 짧게 답변하고 꼬리질문 유도 4) 기본적인 전체 답변은 아래 구조로 하는 것이 좋음 가장 중요한 역량은 OO라고 생각합니다. OO이기 때문입니다. 저는 A 경험을 통해 이러한 역량을 길러왔고, 그 과정에서 B라는 성과를 낸 경험이 있습니다. + (해당 경험 상세 설명) 5) 면접관이 가장 듣기 좋아하는 형식의 답변은 두괄식인 점 참고해 답변하기 |
👉게시글 원문 및 대기업 현직자 답변 보기 (Click!) |
면접에서 질문 있냐고 물어볼 때 메리트 있는 질문 |
1) 폭넓은 질문보다는, 지원 기업에 대한 관심이 돋보이는 질문 하기 2) 지원 기업 관련된 기사 내용이나, 이슈 사항, 관련 리포트를 준비해 간 후 가장 중점으로 두고 있는 사업 방향 관련 질문하기 -> 이때 본인이 생각해본 아이디어나, 견해에 대한 질문을 한다면 플러스 요소가 됨 3) 현대자동차 멘토는 입사 하기 전 어떤 내용을 공부하고 가면 좋을지 질문을 함 -> 지원자의 적극성을 보여주고, 혹시 모를 시그널을 유도하는 방식 4) OO 직무 신입으로서 갖춰야 할 역량이나, 어떤 신입사원을 바라시는지 등을 질문해도 좋음 5) 진짜 궁금한게 아닌, 소위 아는척하는 점수를 따기 위해 질문하는건 지양하기 |
👉게시글 원문 및 대기업 현직자 답변 보기 (Click!) |
면접에서 공백기를 질문할 때 |
[해당 질문을 하는 의도] 본인의 탈락원인에 대해 깊게 고민하고, 이를 위해 어떤 보완했는지를 묻기 위해 [답변 Tip] 취준 공백기가 있다면 구체적인 탈락 이유 복기와 이에 대해 보완한걸 언급 공백기에 대한 답변은 목표가 뚜렷하거나, 공백기에 지원 직무에 도움되는 활동을 했다고 답변하는게 베스트임 (+자신감 가지고 답변할 것] [답변 예시] "OOO의 어려움도 있었지만, OO하게 극복했고 이 극복한 것을 입사해서 OO하게 적용하겠습니다" |
👉게시글 원문 및 대기업 현직자 답변 보기 (Click!) |
힘들었던 일 극복 경험 답변 팁 |
[면접관의 질문 의도] 1) 힘든 일은 무엇이었으며 어떻게 힘든 일을 극복했는지, 다른 힘든 일이 생겼을 때 먼저 극복했던 일을 참고로 어떻게 이겨나갈 것인지 물어보는 것 [답변 Tip] 1) 직무 관련 프로젝트에서 힘들었던 경험 및 극복 방안 답변하는게 베스트 2) 개인적인 사건으로 해도 되나, 직무 관련 관심도를 어필하면서 면접관의 흥미를 끌 수 있음 3) 학교 생활 관련 프로젝트나 팀플 경험도 일반적인 답변 4) 해당 경험을 통해 어떤 점을 배웠고 입사 후 업무에 도움이 되겠다는 식으로 접근 5) 답변 시 직무 관련 답변 + 회사 인재상과 일치하게 답변해도 좋음 6) 회사 인재상이 도전 정신 이라면, ~~ 힘든 경험이 있었는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도전 정신으로 과감하게 실행했고 이런 성과가 있었다 식으로 답변 |
👉게시글 원문 및 대기업 현직자 답변 보기 (Click!) |
인생의 최종 목표에 대한 질문에 어떻게 답변? |
1) 꼭 직무적으로 아니더라도 본인이 생각하는 인생 목표를 말해도 됨 2) 오히려 면접관 입장에서 본인이 억지로 회사나, 직무로 엮으려 하면 진실된 답변이 아니라고 판단할 수 있음 3) 지원한 회사에서 최종 CEO가 되고 싶다, 내 분야에서 최고의 전문가가 되고 싶다, 개인적으로 평생 화목한 가정을 이루면서 정년 퇴직을 이루고 싶다 등으로 답변하면 됨 4) 허무 맹랑한 답변보다는 솔직한 답변이 훨씬 듣기 좋음 |
👉게시글 원문 및 대기업 현직자 답변 보기 (Click!) |
직무 역량 및 성격의 장단점을 묻는 질문 |
[직무 역량에 대해 말해달라고 할때] 1) 기업 분석이 아닌, 본인의 직무 역량을 보여 줄 수 있는 경험을 이야기 하기 2) 저는 ~~ 한 직무 관련 경험이 있으며 이를 통해 ~~ 역량을 길렀습니다 식으로 답변 3) 직무 관련 자격증, 대외활동, 공모전, 인턴 등 실무 경험을 통해 전문성 키우려 했다 [성격의 장단점] 1) 완벽주의를 성격의 단점으로 무난하게 답변해도 됨 2) 다만 장점도 될 수 있고, 단점도 될 수 있는 만큼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어떤 노력을 하고 있는지 덧붙여 설명해주는게 베스트 |
👉게시글 원문 및 대기업 현직자 답변 보기 (Click!) |
마케팅 직무 면접 1분 자기소개 |
1) 기본적으로 지원하는 기업과 직무 상세 내용을 분석한 후, 거기에 본인의 직무적인 강점과 경험을 엮어 해당 회사에 필요한 인재임을 어필 2) 향후 포부까지 포함하는게 좋음 3) 구체적인 성과를 수치화 해서 이야기하는 것도 좋긴 하지만, 1분 자기소개 때는 다소 부담스럽게 느껴질수도 있으므로 어떤 활동을 통해 키운 역량이 OO이다 정도로만 이야기 하기 4) 개인적인 성과가 없다면 팀 기여도를 설명하며 본인의 역할 강조하기 |
👉게시글 원문 및 대기업 현직자 답변 보기 (Click!) |
신고하기
작성자 링커리어
신고글 면접에 나오면 당황하는 FAQ & 대기업 현직자 피셜 답변 팁
사유선택
- 욕설/비하 발언
- 음란성
- 홍보성 콘텐츠 및 도배글
- 개인정보 노출
- 특정인 비방
- 기타
허위 신고의 경우 서비스 이용제한과 같은
불이익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댓글 4